강원도 최전방 박격포 낙탄으로 민간인 부상…"장약 착오 가능성" 군 조사 착수
군사훈련 안전 문제와 민간 피해 우려가 다시 맞붙었다. 강원도 최전방 지역에서 박격포 훈련 중 낙탄 사고가 발생해 주민이 다치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군의 안전관리 체계 전반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육군에 따르면 19일 오전 강원도 양구 소재 최전방 모 부대에서 81밀리미터 박격포 사격훈련을 하던 중 포탄 한 발이 목표 표적지에서 약 600미터 떨어진 민간인 농경지에 떨어졌다. 당시 해당 밭에서는 민간인 20여 명이 영농활동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낙탄으로 인해 밭에서 작업 중이던 민간인 1명이 포탄 파편에 맞아 눈썹 부위가 찢어지는 부상을 입었다. 부상자는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봉합 치료를 받았으며, 군은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
군은 사고 직후 훈련을 중단하고 정확한 원인 규명에 착수했다. 특히 박격포에 사용하는 화약인 장약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격 각도 설정 문제나 기상 조건 등 다른 변수도 함께 조사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육군은 주민 대상 사전 안내와 현장 안전조치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일주일 전부터 인근 주민들에게 사격훈련 일정을 알렸고, 훈련 당일에도 사격 전 경고방송을 실시했으며 경계병을 배치해 사고 예방 조치를 해왔다"고 밝혔다. 그러나 포탄이 민간 농경지에 떨어져 부상자가 발생한 만큼, 실제 안전관리의 실효성을 놓고 후속 논란이 커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강원도 접경지역에서는 병력 훈련과 주민 생활공간이 맞닿아 있는 경우가 많아 유사 사고에 대한 우려가 반복돼 왔다. 이에 따라 군의 사격훈련 절차와 민·군 협의 구조, 비상대응 매뉴얼이 이번 사고를 계기로 재점검 대상이 될 것이란 관측도 뒤따랐다.
군은 조사 결과를 토대로 책임 소재와 후속 대책을 정리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방부와 육군은 사고 경위를 파악한 뒤 필요 시 훈련 구역 조정과 안전 조치 강화 방안 등을 검토할 예정이며, 국회 국방위원회에서도 관련 현안 보고와 점검 요구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