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감한 한중 지방정부 교류 필요”…유정복, 베이징서 협력 확대 촉구
지방정부 간 교류 강화를 둘러싼 한국과 중국의 셈법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인 유정복 인천시장이 베이징을 방문해 올해 한중 지사·성장회의의 성공 개최와 지방 차원의 협력 확대를 중국 측에 촉구했다.
24일 협의회에 따르면 유정복 시장은 전날 중국 베이징에서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을 만났다. 유 시장은 “올해는 한중 수교 33주년이자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 10주년”이라며 “양국 모두에 중요한 시점인 만큼 한중 지사·성장회의가 성공적으로 열릴 수 있게 중국 외교부의 지원을 당부한다”고 요청했다.

중국 측도 지방정부 역할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쑨 부부장은 “지방정부 간 교류가 양국 우호 협력 증진에 큰 역할을 해왔다”며, “이번 회의가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외교부가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화답했다.
이어 유 시장은 양완밍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장과 만나 “올해 회의가 양국 지방정부의 교류·협력에 실질적 도움이 되도록 힘을 모으자”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는 설명도 전해졌다.
한중 지사·성장회의는 2015년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와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가 한중 자유무역협정 체결 1주년을 기념해 출범시킨 협의체다. 2016년 인천에서 첫 회의가, 2018년에는 베이징에서 두 번째 회의가 열린 이후,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7년 동안 개최가 중단됐다. 그러나 올해 다시 한국에서 제3회 회의가 추진되며 지방협력의 재개가 논의되고 있다.
한편 협의회는 3회 회의를 당초 9월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10월 말 경주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가 예정된 것을 고려해 중국 측과 함께 일정을 조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가능성 등도 회의 위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유정복 시장은 베이징에 상주하는 한국 특파원들과 현지에서 만나 “한국과 중국이 최상위 층위에선 정치·외교적 갈등이 있으나 경제적으로는 과감한 지방 교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 간 관계에 불편함이 있을 때, 지방정부 차원 접근이 오히려 원활한 협력에 도움이 된다”고 부연했다.
양국 정치권은 최근 들어 정상 외교와 별개로 지방 행정 중심의 실질적 교류가 양국 관계 전환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데 뜻을 모으는 분위기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중국 측과 한중 지사·성장회의 일정 및 의제 조율을 지속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