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는 내일 끝나지 않을 것”…트럼프, 한미 무역협상 난항 시사
미국과 한국의 관세 협상을 둘러싼 신경전이 고조되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협상 조기 타결 가능성에 선을 그으며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 등이 전한 미국 관리의 추가 양보 요구 소식까지 겹치며, 양국 무역협상이 새로운 갈등 국면에 접어드는 양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방문을 마치고 워싱턴DC 백악관으로 복귀하는 길에 풀 기자단과 만났다. 기자들은 “한국과의 관세 협상을 내일 끝낼 것이냐”고 거듭 질문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질문 취지를 재확인한 뒤 “관세는 내일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는 매우 부유해지고 있으며 그건 우리가 원하는 바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부유한 미국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많은 돈을 가져오고 있다. 우리는 매우 강력하고 매우 부유해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발언이 한미 관세 협상 전반을 겨냥한 것인지, 한국과의 협상에 한정된 것인지는 현장에서 즉각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미국이 무역협상에서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해석이 우세하다. 실제로 월스트리트저널은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스코틀랜드에서 한국 당국자에게 “최선의, 최종적인 무역협상안을 테이블에 올려달라”고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미국 정부가 한국에 추가적인 양보를 사실상 요구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한국 입장에선 추가 협상 없이도 8월 1일부로 미국발 25% 관세 부과가 개시될 예정이며, 이에 맞춰 협상 시한이 촉박해지고 있다. 미국 내 보수여론과 보호무역 기조에 맞춰 백악관이 경제적 실리를 최대한 확보하려는 모양새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협상 결과에 따라 수출 품목의 주요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전망과 함께, 조기 타결 또는 일정 연장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판단을 내놓고 있다. 한편, 향후 양국 정상 및 실무진 간 추가 접촉 여부에도 이목이 쏠린다.
정부는 미국 측과 긴밀한 소통을 유지하면서 협상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양국 협상단은 남은 기간 동안 실질적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을지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