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연료 글로벌 협력 앞장”…박종원, 오사카 장관회의서 수소·연료 동맹 확대 제안
정책 공조와 에너지 주도권을 둘러싼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박종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차관보가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장관급 회의에서 글로벌 연료 동맹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일 정상 간 수소 협력 합의 직후 속도를 높인 행보로, 아시아·유럽 주요국과 협력이 이어질지 주목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박 차관보가 오사카 힐튼 호텔에서 진행된 ‘제1차 지속가능연료 장관회의’ 및 ‘제7차 수소에너지 장관회의’에 참석해, 바이오디젤과 e-메탄 등 지속가능연료의 연구개발과 활용 현황을 공유하고 글로벌 수요, 공급, 인증 관련 협력 강화를 공식 제안했다고 밝혔다.

장관회의에는 한국·일본·브라질·유럽연합·영국 등 25개국의 고위급 인사와 아시아개발은행, 국제재생에너지기구, 국제에너지포럼 등 세계 12개 에너지기구가 한자리에 모였다. 한국은 지난달 23일 한일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수소 생태계 협력의 실질적 실행을 위해 본 회의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박종원 차관보는 직접 “국제사회의 지속가능연료 수요 확대와 기술 혁신에는 각국의 정책 연계, 인증 표준 마련, 안전분야 협력이 필수”라고 역설했다. 이어 “청정수소 입찰시장 개설, 수소자동차, 혼소 발전사업까지 한국의 수소·암모니아 산업 정책 경험을 글로벌 파트너와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서는 한일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수소 협력 방침이 국제적 연대의 토대가 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번 회의가 국제 공급망, 인증체계, 공조방안 논의까지 범위를 넓히며 외교적 파장의 폭도 확대됐다. 반면 일각에서는 공급망, 표준, 안전 문제에 관한 실질적 정책 조율이 과제로 남아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다자간 에너지 동맹이 급격히 확대될 경우, 기술표준 선점과 시장 접근성에서 국내 산업에 유리한 여건을 만들 수 있다”면서도 “국내외 인증 기준과 실제 현장 이행 간 괴리 해소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각국의 수소 및 암모니아 정책 공조가 배출저감과 미래 산업구조 전환을 촉진할지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대체에너지 전환의 속도전 속에 국가별 전략 온도차에 대한 정치적 조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정치권은 내년 본격화될 글로벌 연료 시장 경합, 기술 표준 경쟁에서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며, 국제공조와 국내 정책 정비 모두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