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임위 조정 두고 절차성과 배후논란”…여수시의회, 회기 막바지 파장
지방선거를 9개월 앞두고 전남 여수시의회의 상임위원회 조정 문제가 지역 정가의 주요 충돌 지점으로 떠올랐다. 핵심 인물 및 정당들은 절차상 하자와 배후 조종 의혹을 제기하며, 민주당 중심의 의회 운영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이날 여수지역 진보정당의 반발 성명이 잇따라 발표되며 정국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여수시의회는 16일 본회의에서 일부 의원을 대상으로 한 상임위원회 변경 안건을 의결했다. 이날 이동 대상은 무소속 송하진 의원(해양도시건설위원회→환경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성미 의원(기획행정위원회→해양도시건설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찬기 의원(환경복지위원회→해양도시건설위원회) 등 총 세 명이다. 조정 시점이 임기 말기에다 행정사무감사와 새해 예산안 심사 등 핵심 의회 일정이 임박한 시기였던 만큼, 야권을 중심으로 그 배경을 두고 여러 해석과 문제제기가 이어졌다.

조국혁신당 여수지역위원회는 "사임 당사자의 동의 없이, 사전 논의도 부족한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안건을 상정했다"며 "지방의회 운영의 기본 원칙인 절차적 정당성을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진보당 여수지역위원회 역시 "의회의 상임위원 배치를 특정 정당 이해관계와 배후 조종 대상으로 만들었다"며, 민주당의 일방적 주도와 정치적 계산을 집중 성토했다. 특히 "무소속 송하진 의원의 소속 위원회 일방 변경은 민주당 내부 세력 균형에 치우친 결정"이라는 주장도 제기했다.
여수시의회 측은 "환경복지위원회 소속 의원 간 폭력사태 등으로 상임위 변경 필요성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한 관계자는 "동일 지역구 의원이 한 상임위에 중복 배치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 결정"이라며 "의회 운영 규칙과 의결 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처리했다"고 맞섰다. 실제로 여수시의회 26명 의원 중 무소속 2명을 제외한 다수가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어서, 후반기 임기 내내 소수 야당과 시각 차가 누적돼 왔다.
여수시의회 상임위 사보임 논란은 향후 지방선거를 앞둔 정당 구도, 지역의 현안 예산 심의 과정 등에서 여진을 낳을 전망이다. 국회와 달리 지역의회에서의 정파 간 갈등도 점차 노골화되는 조짐이다. 시의회는 추후 의회운영위원회와 본회의를 통한 추가 논의 및 상임위 운영 정상화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