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명 로비 의혹 집중 압수수색”…이명현 특검, 이종호 전 대표 자택 등 강제 수사 본격화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을 둘러싼 해병대 ‘구명 로비’ 의혹과 특검팀의 대규모 압수수색이 정국에 파장을 불러오고 있다. 이명현 순직해병 특검팀은 7월 10일 경기 성남시에 위치한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 자택에 대한 강제 수사에 착수했다. 이 전 대표는 김건희 여사의 계좌를 관리하며 임성근 전 사단장 구명 로비의 핵심 창구로 지목돼온 인물이다.
법조계 등에 따르면 이날 이명현 특검팀은 이 전 대표 자택을 포함해 임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기훈 전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이시원 전 공직기강비서관,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 등 관련자 자택과 사무공간에 대한 동시다발적 압수수색도 진행했다. 국방부, 국가안보실 등 10여 곳이 압수수색 대상에 올랐다. 특검 수사관들은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방해’ 의혹과 관련한 증거 확보에 주력했다.

구명 로비 통로로 지목된 인맥 라인에 대한 조사는 이미 진행 중이었다. 특검팀은 7월 5일, 해병대 전역자로 구성된 ‘멋쟁해병’ 단체대화방의 주요 멤버인 대통령경호처 출신 송호종 씨와 경찰 소속 최모 씨를 연이어 불러 면담했다. 이 대화방에는 이종호 전 대표, 송호종 씨, 최씨 등 총 5명의 해병대 전역자가 참여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 관계자는 “압수수색을 통해 ‘구명 로비’의 실체와 이 전 대표 연루 의혹 해소에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국회와 정치권에선 특검의 첫 강제조사 돌입 소식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여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가 있는 수사”라는 반응이 나오고, 야권에선 “사건 진실 규명을 위한 불가피한 강제 수사”라는 상반된 시각이 표출됐다.
정치권과 법조계는 강제 압수수색을 기점으로 채수근 상병 순직 사건의 수사 외압 논란과 구명 로비 전말이 실체적으로 드러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야당은 대통령실과 여권 고위 관계자에 대한 추가 수사 확대를 촉구하고, 여당은 특검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을 촉구하고 있다.
이날 특검은 핵심 관련자인 이종호 전 대표와 ‘멋쟁해병’ 대화방 멤버 조사에 본격 착수하며, 구명 로비 의혹 전반에 걸친 수사 속도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치권은 특검의 향후 소환조사 및 추가 압수수색 범위 확대를 놓고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