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전장 지휘 맡긴다”…우크라 전쟁서 본 인공지능 무기 경쟁, 글로벌 안보 파장
현지시각 13일, 우크라이나(Ukraine) 전장에서 인공지능(AI) 기반 무기체계의 실전 활용이 늘며 세계 군비 경쟁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러시아(Russia) 침공 후 우크라이나가 곧바로 저가 AI 드론을 실전 배치한 데 이어, 최근에는 GPS 교란과 전파 방해를 피해가는 광섬유 드론, 나아가 AI로 통제되는 자율 드론까지 전면 활용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뿐 아니라 미국(USA), 이스라엘(Israel) 등도 군 현대화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배경이 되고 있다.
AI 자율 무기 경쟁은 이미 시작됐다. 한국은 2010년 비무장지대(DMZ)에 AI 기반 로봇 무기를 배치했고, 이스라엘은 하롭과 로배틀 등 자율 무기체계를 실전 운용 중이다. 미국 역시 MQ-9 리퍼, XQ-58 발키리 등 무인기를 AI로 업그레이드할 뿐 아니라 F-16 차세대 전투기에도 ‘베놈 AI’를 탑재해 파일럿 없는 전투를 준비 중이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AI 드론 군집이 병력 소모를 줄이고 전투 효율을 높이는 반면, 인간의 무기통제권이 약화되는 문제를 우려한다.

실제 미국 국방부는 “AI 무기의 무력 사용에는 인간의 적절한 판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침을 두고 있지만, 전시 등 긴급 상황에는 AI가 독자적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예외 조항을 허용하고 있다. 이런 규제 공백은 핵무기를 포함한 극단적 선택까지 인공지능이 개입할 수 있다는 공포로 확산되고 있다. 스탠퍼드대(Stanford University) 워게임 실험에서 GPT-4, 클로드2, 라마2 등 대형 언어모델이 상황 판단에서 예상보다 공격적인 결정을 내렸다는 점도 논란을 키운다.
각국 안보 전문가와 시민사회는 AI 무기 실전화의 득실을 두고 격론을 벌이고 있다. 찬성론자는 “병사 희생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작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지만, 반대론자는 “AI 알고리즘의 불확실성과 윤리적 결함이 민간인 피해 등 치명적 오류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실제 AI는 전략적 상황에서 허위, 기만, 편견을 학습할 위험을 내포하고 있어 잘못된 명령이나 오판, 특정 집단에 대한 자동화된 공격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뉴욕타임스 등 주요 외신과 글로벌 안보 전문가들은 “AI 무기가 더는 미래의 개념이 아니라 이미 전장에서 작동하고 있다”며 “통제력 상실, 오판에 따른 국제 분쟁 확산 등 각종 리스크에 국제사회가 시급히 윤리·법적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AI 기반 전투기·자율 드론이 서방과 러시아, 중동 등 주요 충돌지역에서 잇따라 실전 배치되는 가운데, 전문가들은 “규제 체계가 공백인 현 단계에서 AI 군비 경쟁이 예측 불가능한 안보 위기로 비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흐름이 향후 국제 질서와 글로벌 전쟁·평화 패러다임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전 세계가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