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흔들린 당내 중심…국민의힘 의총서 격론 분출→계파 갈등 새 불씨”
뿌리째 뒤흔드는 긴장감이 감도는 국민의힘은 9일 저녁,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와 혁신안을 둘러싸고 새벽을 넘긴 의총장에 팽팽한 대립의 기류를 채웠다. 대선 패배 책임이 지도부 총사퇴로 이어져야 한다는 친윤석열계와, 혁신을 고리로 김 위원장의 임기 연장을 주장하는 친한동훈계의 목소리가 거칠게 교차했다.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서는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당무감사 등 민감한 안건이 쏟아지며 5시간 넘게 논란을 거듭했고, 지도체제 전환 방식을 결정짓지 못한 채 혼란은 한층 짙어졌다.
친윤계를 대변한 강승규 의원은 탄핵 반대 당론 결정 과정을 비대위원장 한 사람의 의지로 돌릴 수 없음을 강조했고, 같은 편의 최보윤 의원 역시 “집단지성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사퇴 요구의 정당성을 부각했다. 일부 의원들은 '대선에서 진 정당 지도부라면 총사퇴가 마땅하다'며 책임론을 날카롭게 제기한 반면, 조경태 의원과 우재준 의원 등 친한동훈계는 ‘혁신안이 우리 당을 살릴 해법’이라며 임기 연장과 혁신 로드맵 완수를 역설했다.

김용태 위원장은 의총 자리에서 “쇄신 의지가 있는지 모르겠다”며 의문을 제기했고, 혁신안에 대해서는 전 당원 투표로 수용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적지 않은 의원들이 ‘비대위원장 임기와 관련해선 상임전국위원회가 판단하는 것이 옳다’며 당내 룰과 절차를 고수하자는 의견도 내비쳤다. 전대 시기 역시 쟁점이 됐으나, 8월까지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구성하자는 공감대는 형성됐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비대위 체제로 전대를 준비한다면 신임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지명할 수 있고, 임기가 만료된 뒤 다시 선임하는 방안 역시 원내대표 몫”임을 시사했다. 이날 회의에서 거취와 지도체제 명료한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나, 각 계파별 입장은 날선 의견으로 노출됐다. 국민의힘은 10일 또다시 의원총회를 열어, 지도체제와 당내 혁신을 둘러싼 뜨거운 검토를 이어가기로 했다. 앞으로 차기 전당대회와 당내 미래를 둘러싼 논란은 거듭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