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제표준 미디어특허 2000건”…ETRI, 기술료 1000억 돌파하며 산업 영향력 입증
IT/바이오

“국제표준 미디어특허 2000건”…ETRI, 기술료 1000억 돌파하며 산업 영향력 입증

신도현 기자
입력

미디어 데이터 압축과 전달 기술이 글로벌 정보통신 산업의 경쟁구도를 재편하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미디어연구본부는 미디어 분야의 핵심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2000여 건의 국제표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의 누적 기술료는 1000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ETRI의 미디어 코덱과 방송 전송 기술은 국내외 스마트폰, TV, 셋톱박스 등 50억대 이상의 기기에 적용되며, 시장과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업계는 이번 특허 및 기술료 집적을 ‘국제 미디어 표준 경쟁의 새로운 분기점’으로 해석한다.

 

ETRI 미디어연구본부는 박사급 연구자 80여 명으로 구성된 대규모 조직으로, 20년에 걸쳐 비디오·오디오 압축과 방송 전송 분야에서 엠펙(MPEG), ATSC 등 국제표준화 중심의 개발을 선도해왔다. 오디오 압축 표준으로 꼽히는 음성 및 오디오 통합 압축(USAC)과 다채널 오디오 압축(3DA)은 엠펙 공식 품질 평가에서 2008년, 2014년 각각 세계 2위를 차지해 돌비, 소니 등 유력 글로벌 업체를 앞질렀다. 2023년 독일 엠펙 회의에서는 AI 기반 미디어 처리 분야인 ‘기계를 위한 비디오 특징 압축’ 부문에서 세계 1·2위를 석권하며 기술력 우위를 공식적으로 확인한 바 있다.

핵심 미디어 기술의 산업 적용 범위도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ETRI가 개발한 차세대 디지털 방송 규격(ATSC 3.0)은 2017년 국내 지상파 UHD 방송에 세계 최초로 도입된 데 이어, 같은 해 북미 표준으로 채택돼 2020년부터 미국에서 차세대 방송 시스템 확산을 이끌고 있다. 이들 표준 기술은 현재 전 세계 수십 억 대 기기 내 칩, 소프트웨어 등 형태로 통합돼 소비자 일상에 실질적으로 쓰이고 있다.

 

글로벌 미디어 기술 표준화 경쟁은 미국, 유럽, 일본의 주요 연구소와 기업이 주도하는 구도에서, 한국이 원천특허와 표준 동시 확보로 영향력을 키우는 모양새다. 특히 미디어 코덱 등 분야에서는 ETRI가 독일 프라운호퍼, 미국 돌비 같은 글로벌 강자들과 품질 평가와 상용화 측면 모두에서 대등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 있어, 국제 표준화된 시장에서 특허료 수익을 안정적으로 창출할 기반이 구축됐다.

 

국내외 방송·ICT 산업계는 표준기술의 상용화, 특허 수익화에 따른 재투자 선순환 체계가 자리 잡았다고 평가한다. 최근 6년간 ETRI 미디어 코덱 분야가 창출한 경제적 가치는 1조2915억원으로 추산된다. 한편, 정책·제도 측면에서는 국제표준 특허의 활용과 보호에 대한 글로벌 협력, 각국 특허청 인증이 보다 정교하게 요구되는 추세다.

 

ETRI는 향후 ‘비욘드 VVC’, ‘포스트 USAC’ 등 6세대급 압축 기술 및 차세대 미디어 표준화 연구에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이태진 ETRI 미디어연구본부장은 “기술 개발, 국제표준화, 산업 적용, 특허 수익화가 순환되는 구조를 통해 대한민국 미디어 산업의 기술 주권을 공고히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계는 ETRI 등 국내 연구조직의 기술이 글로벌 시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etri#미디어코덱#atsc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