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배터리, 에너지 혁신의 주역 부상”…글로벌 시장 재편·정책 확산
산업

“배터리, 에너지 혁신의 주역 부상”…글로벌 시장 재편·정책 확산

서현우 기자
입력

배터리 산업이 글로벌 에너지 전환과 산업 혁신의 중심축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전기차, 재생에너지, 가정용 저장장치 확대는 물론, 자원 재활용 생태계까지 배터리가 산업계, 정책 현장, 주요 국간 협력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며 전 세계적으로 시장 재편과 기술 경쟁이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각국 정부는 대규모 투자와 제도 정비를 앞세워 배터리 중심의 산업전환을 가속하는 동시에, 업계 역시 공급망 안정·현지화·기술 혁신에 파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호주 정부는 지난 6월 말 2조 원대의 가정용 배터리 보조금 정책 시행을 전격 발표했다. 태양광 설비를 갖춘 가구에 고급 저장장치 도입 비용을 지원,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 활용과 전력시장 변동성 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다. 현지에서 테슬라 ‘파워월’ 등 가정용 배터리 판매가 전기차를 넘어서는 추세가 포착되며, 실제 보조금 효과에 귀추가 쏠린다.

호주 북동부 퀸즐랜드주의 태양광 발전 시설[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호주 북동부 퀸즐랜드주의 태양광 발전 시설[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한-일 양국 기업 간 협력도 강화되는 흐름이다. LG에너지솔루션이 도요타통상과 미국 합작 배터리 리사이클 법인을 설립, 자원 순환 구조 고도화와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섰다. SK넥실리스·포스코 등도 일본 기업과의 공급망 연계, 아르헨티나 리튬소재 투자 등 해외 벨류체인 확대에 집중하면서 아시아 배터리 기업 간 전략적 분업 구도가 두드러진다.

 

중국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부문은 가격 경쟁 심화, 공급 과잉 누적 속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있다. 시장에선 2027년경 공급-수요 균형을 전망하며, CATL 등 선두 기업들이 수직계열화와 장기 공급계약으로 경쟁력을 다지는 중이다. 반면, 정부의 폐배터리 원재료 수입 규제 완화는 현지 재활용 산업 활성화의 촉매로 부상했다.

 

국내에서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와 에너지 공기업을 중심으로 신재생 에너지 인프라 확충과 배터리·전력망 기술 고도화가 잇따라 발표되고 있다. 2025년 기준, 국내 화석연료 발전 비중이 사상 처음 50% 밑으로 떨어졌다는 엠버 자료는 풍력·태양광·배터리 등 신산업 자원의 지형 변화를 뒷받침한다. 이에 따라 에너지 시장 구조와 ESS(에너지저장장치)·스마트 전력망 인프라 확대가 가속화되고 있다.

 

배터리 생태계의 심화 효과는 탄소 감축·온실가스 관리·산업용 전기화 등 산업 전반에 파급력을 가져오고 있다. 각국 탄소 정책과 맞물려, 가격 경쟁력 하락·기술 진화·공급망 현지화·리사이클 시스템 강화 등 과제 역시 병존한다. 글로벌 수요·정책·기술 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는 현재, 각국 정부와 기업은 현장 투자와 제도 완화를 통한 장기 경쟁력 확보에 몰두하는 모습이다.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한 연구원은 “배터리는 재생에너지 통합, 전기차, 데이터센터 등 신사업 확장성과 산업 효율성을 동시에 품은 산업의 심장으로 부상했다”며 “정책 지원, 시장 확대, 기술 혁신 속도가 향후 배터리 생태계 지속가능성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를 둘러싼 정책·기술·시장 변화가 당분간 더욱 빨라질 것으로 내다본다. 정책과 시장의 속도 차를 어떻게 좁힐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서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배터리#lg에너지솔루션#호주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