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밀착 타운홀로 민심 경청”…이재명 대통령, 직접 소통 행보에 국정동력 강화
정치적 소통 방식과 지방 현안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이재명 대통령이 현장에서 직접 민원을 듣고 정책 해법을 내놓으며, 임기 초반 국정 동력 강화를 노리고 있다. 4일 오후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은 전날 취임 한 달 기자회견에 이어 또 한 번 대국민 소통에 나선 자리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충청권 주민들과의 만남에서 다양한 민원을 경청했다. 그는 "도덕적 해이를 불러일으키는 것 아니냐며 문제가 있다는 주장도 있다"면서도, 장기 연체 채무 탕감 정책의 사회적 타당성에 대해 "사회 전체 입장에서 보면 타당한 측면이 있다"고 직접 설득했다. 또한 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과 관련해 "국가적 차원의 효율성을 고려한 것이며, 충청권의 손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여당 관계자들은 이 대통령의 현장 소통이 민심과 국정의 접점을 넓힌다고 평가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지역 간 갈등 가능성과 행정의 안정성 문제를 지적하며 신중한 검토를 요구했다. 대통령실 강유정 대변인은 "타운홀 미팅의 성격은 매번 달라질 수 있다"며 "다양한 시민의 목소리를 듣는 방식에 변화를 줄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소통 행보는 국정 지지율에도 반영되는 모습이다. 한국갤럽이 7월 4일 공개한 여론조사(1∼3일, 전국 18세 이상 1천1명 대상, 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65%로 조사됐다. 긍정평가 요인으로 ‘추진력·실행력·속도감’(15%), ‘소통’(10%), ‘유능함’(6%) 등이 꼽혔다.
대통령의 직접 소통은 정책 추진력과 지지층 결집의 선순환 구조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는 분석이 뒤따랐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울산에서 ‘AI 고속도로’ 지원 약속, 광주·전남에서 군 공항 문제 TF 구성 등 현장 기반의 정책을 이어온 바 있다. 충청권에서 과학기술 발전 방안을 논의한 자리 역시, 대선 공약인 ‘과학기술 수도’ 약속 실현 의지를 재확인하는 계기로 받아들여졌다.
정치권은 이 대통령의 상대적으로 안정된 지지율과 연쇄 소통 행보가 중장기 국정과제와 총선 정국에 어떠한 파장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국회와 정부는 향후 현장 중심의 소통과정에서 제기된 민원과 정책 현안을 바탕으로 후속 입법·행정조치 마련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