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방미 앞두고 한미 현안 총점검”…조현, 관세협상·정상회담 조율 본격화
정치

“방미 앞두고 한미 현안 총점검”…조현, 관세협상·정상회담 조율 본격화

최영민 기자
입력

외교 현안이 중첩된 가운데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정식 취임 후 이르면 다음 주 워싱턴을 찾아 한미관계 현안을 챙긴다. 조현 후보자는 한미관세 협상 시한을 앞두고 관세 문제와 정상회담 개최 협의 등 복합적인 의제를 품고 본격적인 한미 고위급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외교부에 따르면 2025년 7월 18일 기준 조현 후보자는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을 마무리했으며, 21일 취임식 직후 미국을 방문하는 일정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측과는 이미 일정을 조율 중이며, 워싱턴 현지에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비롯한 외교 카운터파트와 만날 계획이다.

조 후보자의 첫 미국 방문은 한미 외교장관 회담 성사를 전제로 관세 협상 막바지 점검과 함께 다양한 양국 현안 해법 모색에 초점이 맞춰졌다. 조 후보자 특유의 풍부한 통상 분야 경험이 이번 협상에서 어떻게 발휘될지 외교가의 관심이 집중된다. 관계자는 "양국 고위급 라인이 관세협상 시한을 앞두고 민감한 양자 현안 점검에 나설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 조율도 주요 과제로 부상했다. 당초 정부는 지난달 주요 다자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 개최에 기대를 걸었으나, 중동사태 변동 등 대외적 변수로 성사가 이뤄지지 못한 바 있다. 현재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7월 스코틀랜드 일정(25~29일)으로 인해 양국 정상의 첫 대면은 8월 이후로 미뤄질 가능성이 크다.

 

정치권에서는 관세 문제, 주한미군 방위비 증액, 한미연합방위체계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부각된 만큼, 이번 조현 장관의 방미 결과가 한미관계 전반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한 외교 전문가는 "관세협상 마감 시한을 앞두고 장관급 소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정상회담 일정 조율도 양국 동맹의 방향성을 가늠할 신호탄"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한미 고위급 외교채널 교류를 계기로 관세협상, 방위비 협상, 정상회담 문제까지 종합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한편 국회는 이날 장관 인사청문을 마치며 본격적인 외교정책 추진이 가능해진 만큼, 외교부는 조현 장관 방미 후 미국 정부와의 실무 조율을 거쳐 대면 정상회담 일정 확정에도 속도를 낼 계획이다.

최영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한미정상회담#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