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왁굳 유튜브 침묵…사과문 속 절망”→팬덤 충격 물결에 커뮤니티 요동
밝은 목소리로 변화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던 우왁굳은, 저작권 논란의 소용돌이 앞에서 마침내 침묵을 택했다. 유튜브 활동 중단을 알린 그의 사과문은 복잡하게 얽힌 상황과 무거운 책임감을 담아 팬덤의 마음에 거친 파문을 남겼다. 논란의 장벽이 높아질수록 대중과 커뮤니티는 끓어오르는 불안 속에서 조용히 숨을 고르기 시작했다.
이번 사태의 불씨는 우왁굳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직접 공개된 사과문에서 명확하게 타올랐다. 특히 팬게임 '왁제이맥스'의 음악 무단 사용에 대한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측의 강경한 대처가 밝혀지면서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다. 팬카페와 유튜브 커뮤니티 양쪽에서 연달아 이어진 입장 표명, 그리고 48만 건에 달하는 팬게임 다운로드 기록이 앞서 발생한 우려를 현실로 드러냈다.

문제의 핵심은 단순한 실수가 아닌 크리에이터로서 마땅히 짊어져야 할 저작권 책임의 무게였다. 우왁굳의 과거 인터넷 생방송 내 발언 역시 다시금 도마 위에 오르며, 디제이맥스 관련 콘텐츠 조기 종료 배경과 음악 저작물 취급 미숙이 재조명됐다. 이어진 공개 사과, 팬게임과 커뮤니티 서비스 중단, 그리고 유튜브 휴면 선언까지 일련의 조치들은 팬덤과 시청자들의 혼란에 기름을 붓는 결과로 이어졌다.
최근에는 소속 채널이자 대표 플랫폼인 왁타버스, 이세계아이돌 등 공식 채널에서 약 1600여 개 영상이 대거 비공개로 전환된 일이 논란의 폭발력을 배가시켰다. 다수 팬들은 '저작권 이슈 때문이 아니라'는 내부 입장에도 불구, 달라진 접근 방식과 콘텐츠 유통 방향을 두고 깊은 의심과 걱정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일각에서는 일본의 홀로라이브 등 선례와 비교하며, 이번 사태가 크리에이터 생태계 전반에 저작권 및 책임의식 강화라는 뚜렷한 신호를 보냈다고 평가한다. 업계 전문가들 역시 콘텐츠 유통 체계와 팬덤 운영 방식에 대한 전면 재검토가 요구되는 시점임을 강조했다.
사회적 신뢰에 균열이 생긴 만큼, 실효성 있는 조치와 투명한 소통만이 남은 갈등을 잠재울 돌파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뒤를 잇는다. 팬덤 내부에서도 '설명을 듣고 싶다', '기다려야 하는 시간이 답답하다'는 복합적 반응이 쏟아지며, 채널 향후 행보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됐다.
시대를 달구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우왁굳, 그리고 그를 둘러싼 왁타버스와 팬게임 등의 논란은 아직 결말을 알 수 없다. 앞으로 저작권 문제 및 서비스 조정 절차가 이어질 예정인 가운데, 우왁굳의 근본적 변화와 대중과의 화해가 가능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