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우, 국가 CAIO로 첫 출범”…전 부처 AI정책 컨트롤타워 선보인다
국가 차원의 인공지능(AI) 혁신을 이끄는 새 컨트롤타워가 마련됐다. 18일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위원장 이재명 대통령)가 중심이 돼 ‘인공지능책임관(CAIO) 협의회’가 공식 출범했다. 이날 오후 4시 30분, 서울스퀘어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에서 열린 제1차 협의회에는 정부 부처 25곳을 비롯해 총 48개 부·처·청이 각 기관별 CAIO(Chief AI Officer)를 지정해 참여했다. 업계에선 이번 회의체 출범을 ‘AI 행정·산업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협의회 의장이자 국가 CAIO를 맡은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이 전 부처 CAIO를 아우르는 구심점이 된다. 장관급 기관에는 차관급이, 차관급에는 실장급이 인공지능책임관으로 지정됐다. 앞으로는 지방자치단체까지 CAIO 제도 도입이 확대될 예정이다. 부처별 CAIO는 AI 전략 수립, 실행 점검, 부처 내 AI 활용, 데이터 개방 및 연계 등 행정 내 모든 AI 기반 업무의 최종책임자 역할을 맡게 된다. 국가 CAIO는 각 부처 CAIO를 통합 관리하며 범정부 차원에서 AI 활용도 제고를 총괄한다.

특히 이번 협의회는 국가 AI 대전환을 실행할 ‘AI 3대 강국’ 도약의 실행 체계라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데이터·AI 규제 이슈 공유, 효과적인 사업 기획, 예산 배분, AI 협업 사업 발굴 등 세부 기능이 협의회 중심으로 전환된다. “대한민국 AI액션플랜” 등 국가 주요 정책 실행과정에서 각 부처간 정책 일관성 및 연계성이 강화될 전망이다. 회의결과는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에 정례적으로 보고된다.
이같은 조직 구상은 최근 글로벌 AI 활용 가속화 및 정책 경쟁 구도와 궤를 같이 한다. 미국, 영국, 유럽 등도 AI 정책 전담 조직을 속속 신설하며 부처간 데이터·AI 협업 구심점을 만들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AI 행정은 개인정보·데이터 결합, 투명성, 산업화 윤리 등 법적·윤리적 기준이 핵심 과제로 떠오르면서 각국은 정책 집행력을 끌어올릴 전담 책임관 체계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우리 정부의 협의회 도입 역시 이번 달부터 매달 개최로 정례화되며, 논의 주제에 따라 유관 AI전략위원회 분과위원까지 참석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산업계와 공공부문 기술자문 등 다양한 현장 의견도 시스템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구조다.
하정우 AI미래기획수석은 “범정부 차원의 인공지능책임관 협의회가 출범한 만큼, 대한민국이 AI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필요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이번 협의회를 통해 AI 전략 실행력이 한층 강화되고 정책·행정 현장의 변화 속도가 빨라질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