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한일 셔틀외교 공감대”…이재명·이시바, 76분 부산회담 협력 확대 모색

허예린 기자
입력

한일 관계의 새로운 전기를 놓고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맞붙었다. 양국 정상은 30일 부산에서 열린 76분간의 회담을 통해 인구 감소 대책, 지방활성화, 첨단기술 협력 등 실질적 협력 방안 모색에 집중했다. 갈등과 협력을 반복해온 한일 외교의 물음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이날 회담은 양국 정상이 수시로 만나는 셔틀외교 복원을 공식화했다.

 

대통령실은 30일 오후 6시 5분 공식 발표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이날 오후 4시 49분부터 76분 동안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가졌다고 전했다. 세 번째로 진행된 이 회담에서 양 정상은 인구 소멸, 지방 활성화, 인공지능과 수소에너지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한일 간 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셔틀외교 가동으로 양국 지도자가 빈번히 만나는 것이 신뢰를 쌓고 협력의 물꼬를 트는 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양측이 뜻을 모았다는 것이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앞선 회담에 이어 미래지향적 동반자 관계 구축 의지를 공식화한 셈이다.

 

정상회담 직후 일본 측은 “지방 인구 유출과 경제 활성화 문제에 대해서도 장기적 협력이 필요하다”며 양국 지방정부 간 인적 교류, 관련 기술 공유 방안을 제시했다. 윤곽이 드러난 신산업 연계협력 역시 이번 회담의 성과라는 분석이 뒤따랐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자민당 총재 임기 만료로 내달 4일 퇴임을 앞둔 점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정권 이양기에 한일관계의 연속성과 안정성이 중요해졌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일본 새 총리 체제에서도 양국 협력의 흐름이 이어질지 주목된다”며 분위기 전환에 기대를 내비쳤다.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국내 정치권 반응도 엇갈렸다. 여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적극적 외교가 동북아 평화 기반에 기여했다”는 입장을 내놓았고, 야권에서는 “과거사 문제 원칙 고수가 빠졌다”는 비판을 제기했다. 시민단체는 “지방 협력과 첨단기술 연계는 긴 호흡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 한일 정상이 신뢰 구축과 실질 협력의 체감도를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치권은 일본 내 총리 교체와 무관하게 양국 외교 라인의 셔틀외교가 정례화될지 주목하고 있다.

허예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이시바시게루#셔틀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