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미래차 전환 압박, 미관세 고조”…자동차업계 복합 위기→세제정책 해법 부상
자동차

“미래차 전환 압박, 미관세 고조”…자동차업계 복합 위기→세제정책 해법 부상

신채원 기자
입력

자동차 산업의 미래차 전환이 가속화되는 한편, 미국의 고율 관세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가 한국 자동차업계에 엄중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24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개최된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 주최 제43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에서는 국내외 경영 환경 악화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제 정책의 시급성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의 관세 인상 여파로 상반기 전체 수출은 16.5% 감소, 전기차 수출 역시 88% 급감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럽연합마저도 보호 정책을 강화하며,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60%를 넘어서는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진입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 자동차업계가 내수 침체, 해외 관세 부담, 글로벌 투자 위축 등 복합 위기 국면에 직면했으며, 국내 생산 활성화를 위한 세제지원과 미래차 전략기술에 대한 세액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 지난해 한국 완성차 생산량은 413만 대로 저조했고, 미국 현지생산 증대로 인한 산업 공동화도 새로운 경고 신호로 부상했다.

미래차 전환 압박, 미관세 고조”…자동차업계 복합 위기→세제정책 해법 부상
미래차 전환 압박, 미관세 고조”…자동차업계 복합 위기→세제정책 해법 부상

한편, 산업계 내부에서도 전장화, 디지털화, 인공지능 등 다중 트렌드 전환에 맞서 미래 기술 주도권 확보 전략이 절실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한국산업연합포럼에서는 자율주행 부문을 약점으로 지적하며, 공급망의 다변화 필요성을 심도 있게 제기했다. 현대모비스를 비롯한 주요 부품업체는 인공지능 기반 R&D 체질 개선으로 비용 절감 및 미래 경쟁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업계는 복합 위기 탈피를 위해 전방위적 세제지원 정책과 기술 혁신 드라이브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미국관세#미래차전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