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의약품 관세 해소”…셀트리온, 美 현지 공장 인수로 생산 체제 전환
셀트리온이 미국 내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를 추진하며 관세리스크 해소와 생산 체제의 본격적 전환에 나섰다. 업계는 이번 미국 현지 공장 확보가 셀트리온이 글로벌 바이오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29일 미국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경쟁 기업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인수 대상은 미공개 글로벌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DS) cGMP(우수 의약품 제조·품질관리 기준) 생산 시설로, 미국 제약산업의 핵심 클러스터 내 위치해 있다.
셀트리온은 해당 시설에 대해 확정실사 후 오는 10월 초 본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이미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 바이오의약품이 생산된 검증된 공장으로, 생산공정과 품질관리 측면에서 글로벌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셀트리온은 이 인수로 미국 수출 제품에 적용되는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재고 이전과 현지 위탁생산(CMO) 확대로 대응해 왔으나, 현지 직접 생산으로의 전환은 모든 관세 위험에서 벗어나는 ‘게임 체인저’로 여겨진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도 cGMP 인프라를 빠르게 흡수해 셀트리온의 기존 송도 2공장 생산능력 대비 1.5배 수준까지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다. 인수 대상 시설의 50% 생산 용량은 현지 CMO 계약에 따라 피인수사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전담 생산하며, 나머지 50%는 셀트리온 주요 품목의 현지 제조 공간으로 투입된다. 이에 따라 인수 즉시 수익 창출이 가능해 투자 회수 기간이 단축될 전망이다. 더불어 미국 내 판매 제품군 확대와 신제품 출시 일정에 맞춰 즉각 증설을 추진할 계획이다.
바이오의약품 산업 특성상 직접 생산은 품질 및 공급 안정성 확보와 동시에 규제 대응, 원가 경쟁력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셀트리온은 원료의약품(DS)뿐 아니라 완제의약품(DP)과 포장, 물류까지 생산·공급의 전 주기를 현지에서 소화하는 구조를 목표로 한다. 미국 시장 내 공급망 리스크와 관세 부담, 물류비용 절감 효과가 동시에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 내 생산 거점 확보가 바이오기업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미국은 의약품 관세 및 현지생산 규제 강화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어, 노바티스·화이자·일라이릴리 등도 현지 공장 투자 확대에 나선 바 있다. 셀트리온의 현지 공장 인수는 국내 기업 중에서는 선도적 행보로 평가되고 있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미국 바이오의약품 시장 진출 확대, 현지 규제 적합성, 인증체계 강화가 기업 전략의 중점이 되고 있다. 셀트리온은 이미 현지 판매망 구축까지 완료한 만큼, 직접 제조로 원가율 개선 및 유통 효율 강화가 가속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현지 시설 인수로 신규 공장 건설 대비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고, 관세리스크를 신속히 해소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인수가 셀트리온의 미국 내 주요 제품 점유율 확대와 신규 제품군 조기 시장 안착에 실질적 촉매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궁극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산업 내 공급망 안정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란 분석이다. 산업계는 이번 셀트리온의 현지 공장 인수가 실제 시장에서 경쟁력 ‘퀀텀점프’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