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대북지원금 올해 32억원”…스위스, 전액 부담하며 북한 인도지원 주도
정치

“대북지원금 올해 32억원”…스위스, 전액 부담하며 북한 인도지원 주도

조현우 기자
입력

대북 인도적 지원 규모를 둘러싼 국제정치의 이해관계가 다시 부각되고 있다. 북한이 올해 국제사회에서 약 32억원(238만3천644달러, 7월 11일 기준)의 인도적 지원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5년 만에 감소세를 멈추고 증가세로 전환됐다. 지원금 전액은 스위스가 부담하며, 스위스 정부와 유엔아동기금(UNICEF) 등 국제기구를 통해 집행될 예정이다.

 

11일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자금추적서비스(FTS)에 따르면, 스위스는 올해 북한에 제공되는 인도지원의 전액을 담당한다. 유니세프, 스위스개발협력청(SDC), 스위스인도주의지원국(SHA) 등이 실무를 나눠 지원금의 집행을 맡았다.

북한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을 오랜 기간 완전히 봉쇄하고 국제기구 직원의 입국도 차단해왔다. 이에 따라 북한을 향한 국제사회의 인도지원도 급격히 줄었다. 실제로 2019년 4천591만 달러에 달하던 대북지원액은 2020년 4천188만 달러, 2021년 1천378만 달러, 2022년 231만 달러, 2023년 149만 달러로 급감했다.

 

그러나 지난해부터 분위기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북한은 2023년 8월 국경을 재개방했고, 서방국 중 처음으로 스웨덴이 평양 공관을 재가동했다. 이어 올해 2월에는 스위스 대사가 새로 부임했다. 2023년 3월엔 유엔이 북한 관련 국제기구 업무를 조정하는 상주조정관을 새로 임명했고, 북한도 이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에서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유엔개발계획(UNDP), 세계식량계획(WFP), 유니세프 등 국제기구 직원들의 북한 입국 허용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회복세로 접어든 인도적 지원금 추이가 북핵 긴장, 안보 우려와 맞물려 향후 한반도 정세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권과 국제사회는 대북지원 재개 움직임과 이에 따른 북한과의 외교적 교류 확대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국제기구와의 공조를 유지하며 대북 지원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울 계획이다.

조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스위스#북한#유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