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 긴급 위치 전송 20초”…제3자 실시간 제공 미비로 구조 지연 우려
아이폰이 긴급 구조 상황에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데 평균 20초가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0월 10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실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아이폰의 위치정보 제공 속도는 안드로이드 대비 크게 느려 구조 골든타임 확보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커지고 있다. 안드로이드폰은 기지국 1.3초, GPS 1.7초, 와이파이 2.4초로 평균 2초 내외의 신속한 위치 정보 전송을 지원하지만, 애플은 자체 측위 기술인 ‘HELO’를 활용해 긴급 통화 종료 후 5분 동안만 위치 정보를 제한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경찰, 소방 등 제3자 요청에는 실시간 제공이 불가해 초동 대응에 제약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서는 이동 중이거나 긴박한 상황에서 즉각적 위치 파악이 중요함에도, 아이폰의 현재 정책이 현장의 혼란을 키울 수 있다고 우려한다. 실제 최근 발생한 서울 관악구 흉기 사건 때에도 신고 접수 3분 만에 경찰이 출동했으나, 위치 확인이 지연돼 현장 도착까지 20분이 소요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스탠다드와 보안 정책을 고수하는 애플 특성상, 대한민국의 긴급구조 시스템과 일정 부분 괴리가 발생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김장겸 의원은 “국민 생명과 안전을 위해 제3자 구조 요청 시에도 신속한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정부와 국회는 현행 위치정보 제공 체계를 개선하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글로벌 IT 기업 협의와 정보보호 기준, 데이터 활용범위가 맞물려 있어 실질적 개선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경쟁사 대비 뒤처지는 구조 대응 시간에 대한 논란은 향후 스마트폰 제조 정책, 긴급구조 기술 표준화 등 다양한 이슈로 확산될 소지가 크다. 향후 정책 논의는 안전·보안·IT산업의 글로벌 규제 조정 등 다층적인 협의에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