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카카오톡, 챗GPT 탑재 전면 개편”…AI 접목으로 메신저 혁신 박차
경제

“카카오톡, 챗GPT 탑재 전면 개편”…AI 접목으로 메신저 혁신 박차

신채원 기자
입력

카카오톡이 출시 15년 만에 대규모 전면 개편을 단행하면서 AI 기반 메신저 혁신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23일 카카오는 ‘이프 카카오’ 행사를 통해 인공지능 신규 기능과 사용자 중심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카카오톡 전면 개편안을 공개했다. AI ‘카나나’와 오픈AI의 챗GPT 도입이 핵심으로, 챗GPT 모델은 최신 GPT-5가 적용돼 다음 달 정식 도입될 예정이다.

 

이번 개편은 채팅탭, AI, 지금탭, 친구탭 4가지 축으로 추진된다. 자체 AI인 ‘카나나’는 이용자와의 대화 맥락을 파악해 일정 관리, 정보 안내, 상품 추천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보이스톡 녹음 및 대화 요약, 안 읽은 채팅방 요약 기능 등도 포함돼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높아졌다. 카나나는 다음 달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된다.

출처=카카오
출처=카카오

챗GPT 기능은 카카오톡 내 별도 항목으로 배치돼 사용자가 언제든 AI와 대화하고 결과를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카카오는 AI 혁신을 메신저 핵심 경험으로 삼겠다는 전략을 분명히 했다.

 

채팅방 관리 기능 역시 크게 확대됐다. 채팅방을 종류별로 최대 10개의 폴더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폴더에는 100개까지 채팅방 저장이 가능하다. ‘안읽음’ 폴더에서는 메시지를 미리보기 할 수 있어 이용자 만족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24시간 이내에는 메시지 수정이 허용되며, 수정 시 ‘수정됨’ 표기가 새로 도입됐다.

 

이 밖에 기존 ‘오픈채팅’ 탭은 ‘지금탭’으로 명칭이 바뀌고, 숏폼 콘텐츠 중심의 공유 기능이 적용됐다. ‘친구탭’에선 친구의 프로필 및 게시물 변화를 타임라인 형태로 볼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이날부터 순차적으로 개편 업데이트를 적용할 예정이다.

 

메신저 시장 내 AI 도입이 본격화되며, 관련 업계는 서비스 혁신 경쟁이 한층 격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IT 업계 전문가들은 “AI 기능이 메신저의 이용 패턴 자체를 바꿔놓을 수 있다”며 “카카오톡의 포지셔닝 변화가 향후 업계 표준에도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 시대 변화를 반영해 사용자 실제 요구를 앞세운 전략적 진화”라며, “앞으로도 사용자 중심 혁신을 이어가겠다”고 설명했다.

 

향후 카카오톡의 AI 활용도와 신규 기능 확산속도에 따라, 메신저 시장의 경쟁 환경과 서비스 트렌드에 큰 변화가 뒤따를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신채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카카오톡#카나나#챗g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