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광산 추도식 불참에도 신중한 대응”…이재명 정부, 한일관계 파장 관리
사도광산을 둘러싼 역사 갈등이 재점화된 가운데 이재명 정부가 추도식 불참을 결정하면서도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일본 현지 언론들은 한국의 대응에 주목하며, 양국 관계에 대한 파장이 확산될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14일 일본 산케이신문은 전날 일본 니이가타현 사도섬에서 열린 사도광산 추도식에 한국 정부가 불참한 소식을 집중 보도했다. 신문은 “이재명 정부가 강한 비난은 피했다”며 “역사문제가 경제나 안보 협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사도광산 추도식은 이달 13일 오후 1시 30분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진행됐다.

이재명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의견 합치를 보기가 어려웠다”며 “그래서 이번에는 포기했다. 안 가는 것으로. 협상은 계속하되 그것 가지고 싸우고 그러지 말자(고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요미우리신문 역시 “이 대통령이 국익을 중시하는 실용외교를 강조하는 가운데 대일관계를 배려했다는 분석이 일본 정부 내에서도 나온다”고 전했다.
반면, 진보 성향의 아사히신문은 “한일 모두 양국 관계 개선의 기조를 유지하려는 동시에, 역사 문제에서 난항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사히는 “올해는 9일 전 사전 통보가 이뤄졌지만, 작년에는 행사 직전 불참이 결정됐다”며 이번 한국 정부의 절차적 신중함을 강조했다. 양국 모두 갈등이 전면 확산되는 것을 경계하는 움직임이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이날 행사에서 일본 외무성 오카노 유키코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추도사를 통해 “한반도에서 온 노동자들이 전쟁이라는 특수한 배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고 언급했지만 조선인 강제노동에 대한 직접적인 사과나 언급은 없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일본 측과 추도식 방식을 두고 실무 협의를 이어갔으나, 추도사에 조선인 강제성 언급이 없을 것으로 판단해 이달 초 불참을 최종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사도광산 이슈가 한일 외교의 뇌관으로 다시 부상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최근 한일 정상이 실용외교 협력과 갈등 관리에 방점을 찍어 온 만큼, 이번 신중한 대응이 양국 관계의 추가 경색 전환을 막는 분수령이 될지 주목된다.
정부는 앞으로도 한일 양국 간 역사 현안 대응에서 협력과 국익 중심 원칙을 유지하겠다는 방침이다. 정계 내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향후 한일 외교관계 재정립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