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ESG 경영 역량 강화”…현대자동차, PPA·여성사외이사 확대→글로벌 지속가능성 전략 재정립
자동차

“ESG 경영 역량 강화”…현대자동차, PPA·여성사외이사 확대→글로벌 지속가능성 전략 재정립

박선호 기자
입력

현대자동차가 2025년 지속가능성보고서를 통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구체적 성과와 중장기 전략을 한층 명확하게 제시했다. 국내 최대 규모 전략구매계약(PPA) 체결과 여성 사외이사 선임 확대 등 주요 조치는 현대차가 친환경 경영부터 조직 혁신에 이르기까지 전사적 차원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을 방증한다.

 

금번 보고서는 환경·사회·지배구조의 세 부문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강조한다. 환경 파트에서는 국내 사업장을 중심으로 PPA 기반 재생에너지 전환과 함께, 폐차에서 추출한 재활용 소재를 신차에 적용한 ‘카 투 카 프로젝트’가 혁신적 성과로 평가된다. 사회적 책임 영역에서는 리스폰서블 비즈니스 얼라이언스, 드라이브 서스테이너빌리티 등 국제 이니셔티브 신규 가입이 공급망 투명성 향상에 기여했다. 임직원 대상 다양성·포용성 교육 도입은 포용적 조직문화를 형성하는 데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지배구조 측면에서는 여성 이사 선임과 함께 독립적인 사외이사 강화가 이사회 투명성 제고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ESG 경영 역량 강화…현대자동차, PPA·여성사외이사 확대→글로벌 지속가능성 전략 재정립
ESG 경영 역량 강화…현대자동차, PPA·여성사외이사 확대→글로벌 지속가능성 전략 재정립

현대차는 최근 3년간 집계한 지속가능성 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공개하며, GRI·ESRS 등 글로벌 정보공시 표준을 팩트북 형식으로 정비해 공시 신뢰도와 접근성을 동시에 높였다. 산업계 전반에 ESG 요구가 제고된 상황에서, 현대차의 이 같은 대응은 기업 경영 안정성과 글로벌 경쟁력 제고에 결정적 의미를 갖는다. 산업평론가들은 “지속가능성 강화는 미래 자동차 산업의 생존 전략이며, 현대차의 사례는 국내외 자동차 업계에 중요한 참조점으로 남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박선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현대자동차#esg경영#지속가능성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