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스테이블코인 규제 전환점”…테더, 3억 달러 불법 자금 동결에 시장 긴장

서윤아 기자
입력

현지시각 1일, 테더(Tether) 산하 T3 금융범죄대응단이 약 3억 달러(4천200억 원) 상당의 불법 자금을 동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드문 대규모 자금 추적 및 차단 사례로, 글로벌 사법 당국과의 연계가 한층 강화되는 흐름에서 나왔다. 이 조치는 스테이블코인 자율규제 강화라는 기조에 국제 사회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T3 금융범죄대응단(FCU)은 첫해 활동에서 브라질(Brazil)의 ‘루소코인(Operation Lusocoin)’ 작전을 비롯해 23개국 사법 당국과 협력했다. 이 과정에서 해킹, 사기, 자금세탁 등 다양한 금융범죄에 연루된 자금을 추적·동결했다. 브라질에서는 범죄조직의 4.3백만 USDT(약 640억 원) 등, 총 30억 헤알(R$3 billion) 상당이 압류됐고, 미국(USA)에서도 37건의 사건에서 8천300만 달러 규모가 차단됐다. 이 가운데 불법 상품 및 서비스 거래의 39%가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이뤄진 점이 주목받았다.

테더 T3 금융범죄대응단, 불법 자금 3억 달러 동결…스테이블코인 자율규제 강화 신호
테더 T3 금융범죄대응단, 불법 자금 3억 달러 동결…스테이블코인 자율규제 강화 신호

이번 성과는 발행사가 단순한 결제 수단을 넘어, 국제적 범죄 대응 네트워크의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테더는 유로폴(Europol) 등 글로벌 기관과 협력하며 테러자금 조달, 공갈, 자금세탁, 투자사기 등 위험도 높은 금융 범죄를 집중 단속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민관 공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익명성을 악용하는 범죄를 실질적으로 억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T3 FCU의 활동은 스테이블코인 중심 디지털 자산 시장의 자율규제 모델에 변곡점을 예고한다. 과거 금융 규제의 사각지대였던 스테이블코인 역시 공공기관과 협력하며, “즉시 동결”·“사전 탐지” 시스템 도입 등 사전적 리스크 관리가 본격화되고 있다. 최근 출범한 T3+ 글로벌 협력 프로그램(T3+ Global Collaborator Program)에 바이낸스(Binance) 등 주요 거래소가 합류하며 국제 감시망도 넓어지고 있다.

 

반면, 일각에서는 민간 발행사의 과도한 권한 집중이 탈중앙성 및 프라이버시 침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뒤따른다. 프라이버시 옹호 단체들은 “법집행과 데이터 공유 남용이 개인 정보 유출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며 비판적 시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장 전문가들은 “산업 신뢰 회복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선 합리적 규제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뉴욕타임스(New York Times)를 비롯한 주요 외신들은 이번 조치가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 규제 환경의 중대한 전환점”이라고 진단했다. 이는 디지털 자산 시장이 본격적인 공공시스템의 감시 하에 들어서는 신호로 해석된다.

 

향후 스테이블코인은 가상자산 산업에서 금융 보안과 자금세탁 방지의 중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다만, 암호화폐 시장 불안정성을 고려하면, 투자자들은 단기 변동성보다 규제 방향과 기술 시스템의 완성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스테이블코인을 둘러싼 국제 공조와 규제환경 진화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서윤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테더#t3금융범죄대응단#스테이블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