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노동시장 냉각 신호”…미국 7월 고용 증가 기대치 하회, 경기 둔화 우려
현지시각 1일, 미국(USA) 노동부가 7월 비농업부문 신규 고용이 7만3천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는 금융시장 전망치 10만명에 크게 못 미치는 수치로, 미국 고용시장이 예상보다 빠르게 냉각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같은 달 실업률은 4.2%로 전월(4.1%) 대비 0.1%포인트 소폭 올랐다.
미국 노동부는 5월과 6월 고용 증가 폭 역시 각각 1만9천명, 1만4천명으로 기존 대비 대폭 하향 조정했다. 기존 5월(14만4천명), 6월(14만7천명)에서 합산 25만8천명이나 줄었으며, 이처럼 큰 폭의 수정은 드문 일이다. 이로써 두 달간 월평균 1만명대 성장에 머문 셈이다.

과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기 도입된 관세 정책과 경기 둔화 우려가 여전히 남아있는 가운데, 고용시장 지표의 급격한 변동은 월가와 정책 당국의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다. 뉴욕 현지 투자자들은 이번 지표를 “경기 모멘텀 약화의 본격적 신호”로 받아들이며 향후 추가 경제지표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통신, CNBC 등 주요 경제 전문 매체는 “미국 고용시장이 단기적으로 조정에 돌입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진단과 함께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 방향 전환 전국면을 주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고용지표 냉각세가 고착되면 통화정책 완화, 투자 심리 위축 등 실물경제에 연쇄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며, 향후 수개월간의 고용 및 실업률 변동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월가 역시 경기 방향성 판단의 관점에서 관련 통계 발표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는 평가다.
이번 고용 둔화 조짐이 향후 미국 경제와 글로벌 시장에 어떤 변화를 초래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