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장벽 뚫는다”…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3.8조 플랫폼 기술 수출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기술이 글로벌 신약 개발 패러다임을 흔들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일라이 릴리와 체결한 최대 3조8000억원 규모의 ‘그랩바디-B’ 기술이전 계약은 뇌 질환 치료의 기술적 장벽을 낮춘 동시에, 비만 및 근육 질환 등 난치 영역 치료제 개발에도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평가받는다. 업계는 이번 계약을 뇌질환 신약 경쟁의 분기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이번 기술이전은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유한 이중항체 기반 ‘그랩바디-B’ 플랫폼을 일라이 릴리에 독점 제공하는 내용이다. 릴리는 약 585억원의 계약금을 처음 지급하고, 향후 개발·허가·상업화 성과에 따라 최대 3조7487억원을 에이비엘바이오에 지급할 수 있도록 했다. 그랩바디-B는 난공불락으로 여겨진 BBB를 약물이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돕는 전용 셔틀 기술(뇌혈관장벽 송달 플랫폼)로, 혁신 신약 개발의 핵심 요소로 꼽힌다. 기존에는 뇌질환 치료 후보물질이 BBB 투과 효과가 낮아 개발 속도와 효율에 제한이 있었으나, 그랩바디-B는 항체, siRNA 등 다양한 치료제의 뇌 내 진입을 크게 높인 점이 특징이다.

릴리는 이미 알츠하이머병 신약 ‘키순라’를 상용화했으며, 관련 치료제의 효능과 안전성 개선, 특허 장벽 연장 등에서도 플랫폼 효과를 노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글로벌 제약사들은 BBB 투과율 강화를 신약 경쟁력의 핵심으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로슈는 자사 항체 약물과 BBB 셔틀 플랫폼 ‘트론티네맙’의 결합으로 뇌 내 약물 투과율을 8배 높였고, 알츠하이머 환자의 아밀로이드 제거 속도와 부작용을 동시에 개선했다고 보고됐다.
시장에서는 이번 기술이전으로 릴리가 비만·근육질환 치료 영역에서도 플랫폼을 접목해 신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릴리가 최근 RNA(리보핵산) 기반 의약품 모달리티에도 투자를 늘리는 추세여서, BBB 셔틀을 통한 다양한 적응증 확장의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다. 실제 에이비엘바이오도 “siRNA 등 새로운 치료제 유형으로 플랫폼 적용을 넓히고 있다”며, “근육 등 비뇌 조직 타깃 치료제에도 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일라이 릴리는 알츠하이머 신약 ‘렘터네터그’ 임상 3상 시험을 내년 3월 완료할 계획이다. 에이비엘바이오 역시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추가 기술이전 협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져, 국내 바이오벤처의 플랫폼 경쟁력이 세계 시장에서 다시 한번 주목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BBB 셔틀 플랫폼이 기존 항체 중심의 치료 패러다임을 RNA·신약 등으로 확장함으로써 난치성 질환의 치료 성공률과 시장 가치를 크게 높일 수 있도록 진화했다고 분석한다. 다만, FDA 등 규제기관의 적용 적응증 확장 여부, 장기 부작용 및 윤리·안전성 평가 과정이 남은 과제로 꼽힌다.
산업계는 그랩바디-B와 같은 혁신 플랫폼 기술이 실제 신약 시장에 언제, 얼마나 빠르고 폭넓게 적용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인증, 산업 구조의 조화가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다음 국면을 가를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