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관계, 한반도 비핵화로 이어져야”…통일부, 김정은·시진핑 회담에 신중 반응
북한과 중국 정상회담에 비핵화 관련 언급이 빠지면서 한반도 안보 지형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통일부는 9월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브리핑을 갖고, 북중관계가 앞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윤정 통일부 부대변인은 전날 진행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과 관련해 “북한·중국 관계가 한반도의 비핵화와 평화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북중 관계 동향에 대해 향후 관계기관과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통일부는 양국 간 최근 정상회담 결과 발표에서 비핵화가 일절 언급되지 않은 점을 놓고 변화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실제로 북한과 중국 정상회담은 2018년과 2019년 사이 중국에서 네 차례, 북한에서 한 차례 이뤄질 때마다 비핵화가 공동의제로 언급됐으나, 이번 회담에는 관련 표현이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중국 측의 ‘북핵 불용’ 기조에 변화가 생긴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오고 있다.
정치권과 전문가들은 북중 간 전략적 협력이 심화되는 가운데, 향후 북한의 미사일 및 핵실험 움직임,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특히 미국, 일본 등 한미일 3국과의 대북 공조 전략에도 미묘한 긴장감이 감지된다.
한편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방중에 딸 김주애를 대동한 것이 ‘후계 구도’ 신호인지를 둘러싸고도 관심이 쏠린다. 장윤정 부대변인은 “통일부는 김주애로 후계 가능성을 열어두고 예의주시한다는 그동안의 입장에 변화가 없다”고만 말했다.
정부는 북중관계 및 북한 내부 동향에 대한 분석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국제사회와의 협력도 더욱 공고히 할 방침이다. 통일부를 비롯한 관계부처는 북중 정상회담 이후의 한반도 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검토에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