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도 영상으로”…구글(USA) ‘비오3’ 기능 강화에 AI 시장 기대감 고조
현지시각 11일, 미국(USA) 구글이 동영상 생성 AI 모델 ‘비오3’에 이미지를 8초 길이의 동영상으로 자동 변환하는 기능을 전격 도입했다. 새로운 기능 공개는 글로벌 AI 콘텐츠 시장의 혁신을 가속화하며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의 경쟁을 촉진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는 사진을 업로드한 뒤 원하는 움직임을 텍스트로 설명하면 720p 해상도의 8초짜리 영상을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 음향 삽입, 영상 다운로드 및 공유 기능 역시 탑재됐다.
구글(USA)은 생성 영상에 ‘비오’ 워터마크와 자체 개발한 디지털 워터마크 ‘신스ID(SynthIDO)’를 적용, AI 생성 콘텐츠임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했다. 해당 기능은 지난 5월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영화 제작 도구 ‘플로(Flow)’ 시연과 함께 처음 공개됐으며, 현재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앱에 기본 탑재돼 추가 앱 없이 사진을 영상으로 자동 변환할 수 있다. 사용 대상은 ‘AI 프로’ 및 ‘울트라’ 요금제 가입자로 한정된다. 구글(USA)은 ‘비오3’가 출시된 이후 4천만 건이 넘는 영상이 생성됐으며, 3일 기준 서비스 지역을 159개국으로 대폭 확대했다고 밝혔다.

이번 기술 강화에 대해 구글(USA) 측은 “일상 사물을 애니메이션화하거나 자연 풍경에 움직임을 부여하는 등 창의적 활용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IT 업계와 투자자들은 AI 기반 동영상 생성 기술 대중화가 전 세계 영상 콘텐츠 시장의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고, AI 관련 플랫폼 및 서비스의 본격 성장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실제로 미국(USA)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도 구글의 동영상 AI 경쟁력이 글로벌 미디어 지형을 재편할 잠재력을 지녔다고 평가했다. 한편 전문가들은 “구글이 글로벌 서비스 확장에 속도를 내면서, AI 영상기술 시장에서 기업 간 경쟁이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AI 동영상 생성 기술의 상용화와 실제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