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심만 바꿔도 막힌다”…SK텔레콤, 자급제폰 보안 강화 여파 IT시장 파장
유심(USIM) 보호 서비스가 자급제 스마트폰 활용 방식을 뒤흔들고 있다. SK텔레콤 등 통신 3사가 개인정보 보안 강화를 이유로 해당 서비스를 대규모 적용하면서, 기존처럼 간편하게 유심만 바꿔 넣는 기기변경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업계는 이번 정책 변화를 통신 서비스 접근성, 단말 시장 구조에 변화를 불러올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23일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최근 출시한 삼성 갤럭시Z폴드7 등 자급제 단말기에 기존 유심을 그대로 옮길 때 데이터 연결이 차단되는 일이 나타나고 있다. 핵심 원인은 ‘유심보호서비스’로, 이 기능은 유심(가입자 식별 모듈)과 인증된 단말기를 일대일로 묶어 두어, 분실·도난·불법 복제 등 비정상적인 유심 이동을 원천적으로 막는다. 기존에는 자급제 스마트폰을 구매한 뒤 기존 폰에서 유심을 빼내 교체하면 바로 개통이 가능했으나, 유심보호서비스 적용 시 미등록 단말기엔 통신 기능이 차단된다.

특히 SK텔레콤은 지난 4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고 이후, 2차 피해 방지 차원에서 전체 가입자와 SKT 망 알뜰폰 사용자에게 유심보호서비스를 일괄 적용했다. KT와 LG유플러스도 자체적으로 가입자 대상 서비스 사용을 적극 유도하고 있다.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자가 다른 단말기로 이동할 경우, 서비스 해지 후 기기 변경을 진행해야 한다는 점이 일반적 기변 방식과 현저히 달라 이용자 혼란이 커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SK텔레콤 자급제폰 이용자는 T월드 홈페이지나 114 고객센터에서 직접 서비스 해지 절차를 거쳐야만 유심 이동이 가능하다. 이후 자급제 단말에서 정상 개통을 확인한 뒤 다시 서비스를 재가입할 수 있다. 반면, 통신사 대리점이나 공식 온라인몰 등에서 단말을 구매한 경우엔 주문 시점이나 매장 개통 과정에서 자동 또는 직원 대행으로 서비스 해지 및 재가입 절차가 진행된다.
KT, LG유플러스 계열에서도 유심보호서비스 활성화와 더불어, 자급제·타사 단말기 사용자에겐 유사한 정책 안내가 이어지는 중이다. 업계는 유심 복제 범죄, 개인정보 유출 사고 등 보안 위협 차단이 시급하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소비자 편의성 저하와 ‘자급제 스마트폰’ 확산 전략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eSIM(내장형 유심)’ 본격 도입, 원격 인증 강화를 통한 단말-가입자 보안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유럽 주요 통신사 역시 유사한 방식의 기기 인증, 접근 통제 시스템을 도입 중이며, 한국은 ‘유심 기변’에 익숙한 기존 관행과 새로운 보안 정책의 충돌을 절충할 현실적 방안 모색이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보안 사고 예방은 모바일 서비스 신뢰의 기본이지만, 단말기 이용 자유와 시장 혁신 동력까지 규제하지 않도록 절차 간소화·이용자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며 “유심 관련 정책이 실제 소비자 경험과 단말 유통시장 구조를 실질적으로 바꿀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산업계는 유심보호서비스와 같은 강력한 보안책 도입이 효율적 시장 관리와 개인정보 안전을 앞당길 수 있을지 지켜보고 있다. 기술 변화와 시장 접근성, 이용자 권익 간 조화가 미래 통신·단말 산업 혁신의 주요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