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개수와 생존율 직결”…치과보철학회, 보철 치료 효과 첫 통계로 입증
치아 개수 감소가 고령자의 사망 위험 증가와 밀접하게 연결돼 있으며, 틀니와 임플란트 등 치아 보철 치료가 생존율 향상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처음 공개됐다. 보철치료 접근성 확대가 노년층 건강수명에 실질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업계는 이번 통계를 ‘구강건강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점’으로 주목하고 있다.
글로벌 컨슈머 헬스케어 기업 헤일리온과 대한치과보철학회는 ‘틀니의 날’(7월 1일) 제정 10주년을 맞아, 한국인의 치아 상실 및 보철 치료가 건강과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2007~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를 사망 원인 통계와 연계 분석해 진행됐으며, 만 60세 이상 성인 1만4253명을 최종 조사 대상으로 선정했다.

분석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 고령자에서 치아가 1개 빠질 때마다 사망 위험이 약 1.2%씩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예를 들어 치아가 4개 상실되면 사망 위험이 5%, 8개 상실 시 10%로 크게 높아진다. 28개 치아가 모두 남아있는 이들과 비교해 상실 그룹은 10년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특히 잔존 치아 수가 20개 미만일 때 사망 위험이 급격히 높아졌으며, 20개 이상 대비 10년 생존율은 약 14.9%p, 15년 생존율은 21.5%p까지 낮아졌다.
연구진은 잔존 치아 20개가 ‘생존율의 분기점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구강건강이 단순 보존 치료가 아니라, 전신 건강과 기대수명에 실질적으로 연결되었음을 국내 대규모 통계를 통해 규명한 첫 사례다.
특히 치아 상실 이후 틀니·임플란트 등 보철 치료가 사망 위험도를 낮추는 효과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잔존 치아 0~20개를 보유한 대상자 중 보철 치료를 받은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사망 위험이 15.5% 감소했다. 고정성 보철·부분 틀니·완전 틀니 등을 활용할 경우 고령자 생존율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해석이 제시됐다. 연구팀은 “노년층 보철 치료 접근성 향상이 국민 구강건강 증진과 치아 상실에 대한 불안 완화에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고령화가 심화되는 국내 환경에서 구강 진료와 보철 치료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치아 상실 및 보철 치료에 대한 대량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생존율 분석은 글로벌 보건의료계에서도 주목되는 방식이다.
해외에서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이 정기 건강조사에 구강건강을 별도 항목으로 관리하는 등, 치아 상태를 주요 건강지표로 인정하고 있다. 일본·유럽도 고령층 대상 보철 치료 지원 정책 확대 중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가 정책 입안과 보험 적용 등 공공의료 방향 논의의 근거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대한치과보철학회 관계자는 “보철 치료가 수명 연장에 직접적인 효과를 갖고 있음을 국내 대규모 통계로 입증한 것은 처음”이라면서 “국민 건강 인식 개선과 치과 진료 소비 활성화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이번 연구 결과가 고령사회 구강(口腔) 건강 관리의 기준점을 제시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의료서비스, 제도 변화가 실질적으로 연계될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