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격차 해소 위한 첫발”…김동연, 경기도 취약계층 600가구 냉난방기 지원
정치적 격차 해소를 두고 지방정부와 업계가 손을 맞잡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전국 최초의 기후보험 정책에 이어 이번엔 기후 취약계층을 위한 냉난방기 설치 사업에 직접 나섰다. 전국적으로 심각해지는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이번 조치는 민관 협력의 새로운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경기도는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협력을 통해 총 600가구의 기후 취약계층에 냉난방기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전날인 8일 경기도청 옥상정원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 김혜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장이 참석해 지원 방안을 구체화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는 3년간 총 10억 원을 기부한다. 경기도가 사업 전체를 총괄하고,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수행을 담당한다. 지원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한부모가족, 독거노인으로 한정된다. 올해 1차 연도에는 오는 8월까지 약 160가구의 수혜대상을 선정하고, 9월부터 11월까지 냉난방기 설치가 이뤄질 예정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기후위기 취약계층을 위해 큰 금액을 기부해 준 손해보험협회에 감사하다”며 “기후격차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더 나아가 “기후 어려움을 기회로 삼아 산업 발전과 국제적 리더십을 도모하겠다”고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이병래 손해보험협의회장은 “이제는 기후안전망을 강화할 시점”이라며 경기도의 정책을 호평했고, 김혜애 진흥원장 역시 “기부가 잘 전달되도록 현장에서 발로 뛰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이번 지원책은 김동연 지사가 지난해 도입해 전국적 논의가 확산된 '경기 기후보험' 정책의 연장선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남다르다. 기후보험의 경우 경기도민 전체가 자동으로 가입돼 온열·한랭질환 및 특정 감염병 피해시 정액 보험금이 지급된다. 도는 도입 이후 지금까지 25명의 도민에게 보험금을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과 복지 전문가들은 “지역별·계층별 기후격차 해소를 위한 정교한 현물·현금 복지 정책의 예시”라는 평가와 함께 중앙정부 차원의 확장성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이날 협약 이후 경기도는 대상 선정과 설치 과정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며, 정책 성과에 따라 타 지자체와 중앙정부의 정책 전환 압박 역시 확대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