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차카반도 규모 8.7 초강진”…러시아·일본 전역 쓰나미 경보 확산
현지시각 30일 오전, 러시아(Russia) 캄차카반도 인근 오호츠크해에서 규모 8.0, 8.7에 달하는 초강진이 연달아 발생하며 러시아·일본(Japan) 전역에 쓰나미 경보가 내려졌다. 이번 사태로 해안 지역 주민들에게 긴급 대피령이 발동되고 태평양 연안 국가들에도 직접적 우려가 확산되는 등 대규모 자연재해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 태평양쓰나미경보센터(PTWC)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24분, 캄차카반도 동쪽 해상에서 규모 8.0의 강진이 처음 발생했으며, 이어 오후 12시 16분에도 같은 인근에서 규모 8.7의 더 큰 지진이 관측됐다. 진앙은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인근 해역으로, 두 지진 모두 진원 깊이는 약 20㎞로 측정됐다.

PTWC는 러시아와 일본에 거대한 쓰나미가 3시간 이내 상륙할 수 있다며 즉각 경보를 발령했다. 러시아 당국은 캄차카와 사할린 해안 주민 전원에게 대피령을 내렸으며, 일본 기상청 역시 홋카이도부터 규슈까지 태평양 연안 전 지역에 쓰나미 주의보와 함께 최대 3m의 쓰나미가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현지 정부들은 긴급 재난 방송과 함께 해수면 상승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시민 안전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솔로도프 캄차카 주지사는 “오늘 지진은 수십 년 만에 겪는 최강의 흔들림”이라고 언급했고, 사할린 주지사도 “세베로쿠릴스크 주민의 신속한 대피를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행정당국은 즉각적으로 긴급 대피 명령을 하달했다는 내용을 NHK 등 현지 언론이 속보로 전하고 있다.
한편 PTWC는 “한반도 해안에도 0.3m 미만의 쓰나미가 도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주변국들의 추가적인 주의를 요청했다. 캄차카반도 일대는 이른바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 고리’에 속한 대표적 지진 다발 지역으로, 21세기 들어 주요 강진이 반복되면서 재난 대응 체계 강화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미국(USA) 지질조사국(USGS)과 BBC 등 해외 주요 매체는 “러시아·일본 간 해상에서 벌어진 이번 초대형 지진이 동북아 일대에 가져올 사회적·경제적 충격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환태평양 지진대의 주기적 활동이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해졌다”며 “추가적인 대형여진과 쓰나미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한다.
국제사회는 해역 영향권 내 국가들의 대피 상황과 향후 추가 재해 발생 여부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