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속한 복구·지원 필요”…더불어민주당, 정부에 조기 특별재난지역 선포 촉구
전국 각지에서 쏟아진 기록적 폭우로 인명 피해가 속출하면서,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간 조기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둘러싼 논의가 본격화됐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7월 18일 당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하며 정부에 신속한 특별재난지역 선포와 복구 지원 강화를 요청했다. 예기치 못한 폭우와 이로 인한 대규모 피해가 사회적 충격으로 번지며, 정치권의 분주한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브리핑을 맡은 김성회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정부는 폭우로 피해를 본 국민께서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가실 수 있도록 신속한 구조·구호작업과 복구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서 피해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피해복구를 위해 정부와 긴밀히 협조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신속한 재난지역 선포와 정부 차원 지원 확대를 강한 어조로 요구한 셈이다.

실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18일 오전 11시 기준, 전국에 쏟아진 집중호우로 4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광주 지역에는 하루 400mm에 육박하는 폭우가 내리며 실종자가 추가로 발생했다. 비 피해 상황이 악화하자, 신속한 구조와 복구, 피해 지원에 대한 국민적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야당의 선제적 대응 주문에 대해 여당 및 정부는 피해 집계와 현장 점검에 집중하고 있지만, 현 단계에서 특별재난지역 선포 여부 등 구체적 입장은 내놓지 않아 신속성 논란이 불거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일각에서는 재난 대응 과정에서 여야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피해 복구 예산이나 제도적 지원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정치권의 집중 논의는 향후 정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폭우 피해가 계속될 경우 정부의 재난 대응 능력과 야당의 감시 역할, 그리고 여야 간 협력 방식이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회는 조기 특별재난지역 선포 및 지원 예산 편성을 둘러싸고 치열한 논의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