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주민 시신 판문점 인도 통보”…구병삼, 북한에 신속 입장 촉구
북한 주민 추정 시신 인도 여부를 둘러싸고 남북 당국이 팽팽히 맞섰다. 통일부는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시신 송환 계획을 공식 발표하면서, 북한의 신속한 입장 표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양측 소통이 사실상 끊긴 가운데 이번 조치가 남북관계의 새로운 쟁점으로 부상하는 양상이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7월 29일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정부는 6월 21일 인천 강화 석모도 해안에서 귀측(북측) 주민으로 보이는 사체 1구를 발견해 인근 병원에 안치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 대변인은 이어 “인도주의와 동포애 차원에서 이 사체 및 유류품을 8월 5일 15시에 판문점을 통해 귀측에 인도하고자 하니, 북측은 남북 통신선을 통해 입장을 신속히 알려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시신은 임시증명서를 지니고 있었으며, 1988년 10월생의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 소속 농장원 고성철로 기재됐다. 소지품으로는 군인용 솜동복과 배지 등이 확인됐다. 통일부는 남북 직통 통신선이 단절된 상황을 고려해, 언론공개 방식으로 북측에 전달했다. 유엔군사령부 연락채널 등을 통해 이미 수차례 북측에 사실을 알렸으며, “북측도 이미 관련 내용을 인지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7월 29일 기준 북측은 아무런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북측이 시신 송환 의사를 밝히지 않을 경우, 통일부는 지방자치단체의 무연고 사망자 장례 지침에 따라 시신 화장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2010년 이후 남측에서 발견된 북한 주민 추정 시신은 총 29구에 이르지만, 북측이 인수한 사례는 6구에 불과하다. 가장 최근 북측이 시신 인도를 받아들인 사례는 2019년 11월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남북관계 경색 국면 속에서 북측이 시신 송환 요청에 응하지 않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통일부는 “시신을 송환할 예정이니 북측이 조속히 입장을 통지해 달라”며 협조를 요청했다. 이날 정부와 국회는 인도주의적 사안에도 불구하고 남북 당국 간 불신이 해소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며, 향후 관련 절차 및 남북 간 교류 회복 정책 논의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