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 유출 통로 우려”…미 하원, 화웨이 퓨처웨이-엔비디아 부지 공동사용 조사
현지시각 17일, 미국(USA) 하원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가 중국(China) 화웨이 자회사 퓨처웨이 테크놀러지와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 본사가 10년 넘게 같은 부지를 공동 사용한 사실에 대해 공식 조사에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첨단 기술의 기밀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상황에서 업계와 국제 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맥락에서, 반도체와 인공지능 분야 보안 우려가 다시 불거졌다.
현지 언론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미중전략경쟁특별위원회 존 물레나르 위원장(공화)과 라자 크리슈나무어시 민주당 간사는 이날 엔비디아와 퓨처웨이 양사에 조사 서한을 발송했다. 서한에서는 퓨처웨이가 엔비디아 본사가 위치한 캘리포니아주 샌타클래라 캠퍼스에서 3개 건물 임차인 자격으로 약 10년간 업무를 해온 점, 2024년에야 엔비디아가 해당 부지 완전 소유권을 확보한 점 등이 언급됐다. 위원회는 이달 28일까지 양사의 부지 임대 및 입주 관련 계약서, 선택 과정, 현장 내 활동 자료 일체를 제출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 같은 조치는 미중 갈등이 반도체, AI 등 전략기술로 확산된 상황에서 미국 기업과 중국계 기업의 물리적 연계가 보안상 허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직접적 계기가 됐다. 특히, 2018년 퓨처웨이 직원들이 미국기업 가명을 이용해 화웨이의 공식 출입이 차단된 통신 행사장에 무단 출입을 시도한 전력도 도마에 올랐다. 미 하원은 양측의 오랜 공존이 해당 지역 산업기밀 유출 통로로 악용됐는지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엔비디아 측은 “임대 건물 내 모든 사무공간·인력·지식재산에 철저한 보안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며, 현재는 자사가 독점 사용하는 캠퍼스를 확보했다고 해명했다. 반면 퓨처웨이와 화웨이 측은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이번 사안을 두고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예민하게 반응해온 미국(USA) 내 경계감도 높아진 양상이다. ‘워싱턴포스트’ 등 주요 현지 매체는 “화웨이 등 중국계 기업의 미국 내 전략적 활동에 대한 새로운 경계선이 그어졌다”고 평하며, 업계 전문가는 “중국의 첨단 기술 추격이 계속되는 한 미국 의회의 감시 역시 강화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사가 미중 디커플링과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을 더욱 촉진할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업계의 해외 협력 및 기술 교류에도 보다 엄격한 관리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이번 미국 하원의 단호한 대응이 향후 양국 기업협력 환경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