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하루 메시지 26억 건 돌파”…AI 사용, 일상 전방위로 확산
현지시각 15일, 미국(USA) 오픈AI(OpenAI)와 하버드대 연구팀은 AI 챗봇 ‘챗GPT(ChatGPT)’의 전 세계 메시지 사용량이 1년 만에 여섯 배 급증해 하루 26억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AI 서비스의 일상 생활 중심 확대와 사용자 저변 확산이 IT·테크 산업 구조를 빠르게 변모시키고 있음을 방증한다.
연구팀이 2024년 5월부터 2025년 6월까지 150만 건의 익명 대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6월 하루 평균 4억5천100만 건에 머물던 챗GPT 메시지는 2024년 6월 26억2천700만 건으로 크게 늘었다. 주간 활성 이용자 수도 7억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돼, AI 서비스의 글로벌 파급력이 극대화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챗GPT 활용 패턴에서 업무 목적 사용 비중이 47%에서 27%로 감소하고, 정보 탐색·실용 지침·글쓰기 등 일상적 용도의 사용이 53%에서 73%로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AI의 실질적 영향력이 코딩이나 사무 작업을 넘어, 사용자 일상 전반에 깊이 스며들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별·연령·국가 단위의 접근성 격차도 완화되는 추세가 확인됐다. 남성 편중이던 초기와 달리 사용자 성비는 남성 80%에서 여성 52%로 역전됐고, 18~25세 연령층이 전체 메시지의 46%로 가장 많았다. 반면, 순수 업무 목적의 이용자는 30~60대 비중이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1인당 국내총생산(GDP) 1만~4만 달러에 해당하는 중소득국에서 챗GPT 확산 속도가 가장 빨라, 최저소득 국가의 증가율이 최고소득 국가 대비 4배 높게 집계됐다. 다만, 전체 사용량과 서비스 보급률은 여전히 고소득국이 우세한 상황이다.
메시지 유형별로는 전체의 49%가 질문, 40%는 글쓰기 등 특정 작업 요청이었으며, 정보 공유·상태 표현은 11%로 나타났다. 오픈AI 측은 “챗GPT가 생산성 도구를 넘어 의사결정 등 개인의 일상 전반을 지원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NYT(뉴욕타임스), BBC 등 글로벌 주요 매체는 “AI 사용자 기반이 빠르게 다양해지며 시장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챗GPT의 기하급수적 성장세가 AI 산업의 변곡점이 될 것이라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향후 챗GPT 등 AI 서비스의 일상 활용성 강화, 국가별·연령별 맞춤형 진화가 글로벌 디지털 시장의 질서를 재편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기술 격차 해소 및 윤리적·규제적 대응의 중요성도 함께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