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세 차례 소환 불응”…한학자 통일교 총재, 특검 체포 가능성 고조
정치

“세 차례 소환 불응”…한학자 통일교 총재, 특검 체포 가능성 고조

정유나 기자
입력

정치권 청탁·금품 제공 의혹과 관련해 특검팀과 통일교 한학자 총재가 맞붙었다. 세 차례에 걸친 소환 요구에도 한 총재가 끝내 출석을 미루면서, 특검은 체포영장 청구를 본격 검토 중이다. 고질화된 ‘정·교 유착’ 논란이 다시 정국의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5일 "내일 소환 조사 예정이던 한학자 통일교 총재가 건강상의 사유로 불출석하겠다는 의사를 서면으로 제출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 총재는 앞서 1일과 11일에도 심장 시술 후 건강 악화를 이유로 병원에 입원하며 모두 출석하지 않았다. 변호인단은 "산소포화도가 정상 범위를 밑돌 정도로 아직 건강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며 "상태 호전 시 조사에 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에 따라 한 총재는 특검의 세 차례 소환 요구에 연이어 불응하는 상황이 됐다. 특검팀은 "출석 예정일 직전마다 일방적으로 불출석 의사를 밝힌 점을 근거로, 3회 소환 불응으로 처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진위 파악과 정당성 검토 이후, 더 이상 출석을 미루는 사정이 없다고 판단되면 체포영장 청구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한학자 총재와 통일교 측은 모든 청탁·금품 제공 행위가 윤모 전 세계본부장 등 개별 인사의 일탈일 뿐 교단 차원의 조직적 관여는 없었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특검이 공개한 윤씨, 전씨, 김건희 여사 관련 공소장에는 한 총재가 ‘정교일치’ 실현을 목표로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에게 조직적으로 접근했다는 기술이 담겼다. 특히 윤씨의 정치자금 1억원 전달과 고가 선물 제공 행위 모두 한 총재의 승인에 따른 것이라는 진술도 포함됐다.

 

형사소송법에 따르면 피의자가 정당한 사유 없이 소환 요구를 거듭 거부할 경우 체포영장 발부가 가능하다. 앞서 김건희 특검팀은 2023년 7월 30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두 차례 불응 직후 체포영장을 청구해 발부받은 선례도 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는 특검 수사가 정점 인사를 향해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는 만큼, 향후 정교일치 논란과 정관계 로비 의혹의 파장이 어디까지 번질지 주목하고 있다. 특검팀은 한 총재의 건강상태와 출석 가능성을 재차 확인한 뒤, 체포 여부와 신병 확보 방향을 최종 결정할 전망이다.

 

이날 특검은 한 총재 소환 불응에 강력하게 유감을 표명하며 조사의 공정성·신속성을 강조했다. 정치권은 특검 수사 결과와 한 총재의 향후 입장에 따라 또 한 번 격렬한 공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정유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학자#특검#통일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