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내란특검 첫 변론 종결”…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재판, 11월 결심 후 연내 선고 전망
정치

“내란특검 첫 변론 종결”…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재판, 11월 결심 후 연내 선고 전망

윤선우 기자
입력

내란특검을 둘러싼 정치적 충돌이 다시 부상했다. 특검팀이 수사한 내란·외환 사건 가운데 처음으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 사건의 변론 종결 일정이 확정되면서 법정 판가름을 앞두고 있다. 이 사건은 ‘더 센 특검법’ 국무회의 통과에 맞물려 증인신문 중계도 의무화될 예정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이현복 부장판사)는 9월 23일 노상원 전 사령관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혐의 사건 5차 공판에서 “11월 17일 최종변론기일을 진행하고 종결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결심공판에선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구형과 피고인 최종진술이 예정돼 있다. 변론 종결 후 통상 1~2개월 내 1심 선고가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법조계에서는 연내 선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재판부는 “앞으로 결심 공판 전까지 다섯 차례 더 재판을 열어 증인신문과 증거조사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김봉규 전 국군정보사 중앙신문단장(대령)과 구삼회 육군 2기갑여단장(준장)이 두 번씩 증인으로 소환된다. 김 대령은 지난 8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과 관련해 증인으로 출석했으며, 구 준장은 오는 10월 15일 증인신문에, 이후 10월 29일 다시 두 사람이 출석해 알선수재 혐의에 대해 증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10월 29일 증인신문부터는 ‘더 센 특검법’ 통과에 따라 법정 중계가 의무화된다. 재판부는 “10월 29일 진행될 증인신문부터 의무적 중계 대상으로 편입될 것 같다”며, “보안 문제와 겹치는 질문이 있는지 양측이 재판부에 의견을 달라”고 요청했다.

 

이날 공판에선 지난해 12월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출동 상황 등을 두고, 정보사 소속 군인 등 4명이 증인신문을 받았다. 노상원 전 사령관은 민간인 신분임에도 부정선거 의혹을 수사할 제2수사단을 구성하려 했고, 이에 따라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 등으로부터 군사 정보를 전달받았다는 혐의로 기소됐다. 또한 진급 인사 청탁을 명목으로 김 대령과 구 준장으로부터 현금 2,000만원과 600만원 상당의 백화점 상품권을 받은 혐의도 받고 있다.

 

앞서 재판부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사건의 증거조사 종료 후 알선수재 사건을 순차 심리하겠다고 밝혀 재판 효율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내란 및 외환 혐의 관련 특검 사건 심리가 실제로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면서,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에서는 앞으로의 판결 결과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한편 국회는 연이은 특검법 논의와 법정 중계 의무화 후속 대책을 두고 논쟁을 이어가고 있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노상원#특검#더센특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