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 글로벌 거버넌스 선도”…강하연, OECD 첫 통합 의장 선출

박지수 기자
입력

OECD 인공지능 거버넌스 작업반(AIGO)과 글로벌 인공지능 파트너십(GPAI)이 공식 통합된 이후, 첫 의장으로 한국의 강하연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연구위원이 선출되며 국내 AI 정책 역량이 국제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선출은 GPAI가 2023년 7월 OECD 체계로 공식 통합된 뒤 이뤄진 의장 교체로, 우리나라가 AIGO와 GPAI 의장직을 동시에 맡는 것은 처음이다. 전문가들은 “글로벌 AI 논의 중심축이 서구에서 한국 등 아시아로 확장되는 전환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OECD는 2019년 국제기구 최초로 ‘AI 원칙’을 채택한 이후, 회원국 간 AI 정책과 기술 발전에 따른 윤리·규범·안전 문제를 논의해 왔다. AIGO는 AI 원칙을 구체화하는 실무그룹이며, GPAI는 2020년 G7 주도로 탄생해 다자협력 거버넌스의 핵심축 구실을 해왔다. 두 조직의 통합으로 데이터 거버넌스·AI 윤리 등 첨예한 글로벌 현안 논의가 한층 체계화될 전망이다.

한국은 2023년 AI 서울 정상회의 개최를 시작으로, 올해 APEC 의장국으로서 최초 디지털·AI 장관회의를 열고, APEC 정상회의에서 AI 이니셔티브 채택까지 주도하며 국제협력에서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번 의장 선출은 그간 축적된 네트워크와 전문성을 국제사회가 공식 인정한 결과로 읽힌다.

 

특히 AI 개발·활용 증가로 개인정보·알고리즘 투명성·공정성 등 거버넌스 이슈가 부상하는 가운데, 강 연구위원은 “OECD AI 거버넌스가 선진국을 넘어 개도국·비회원국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적 논의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포용적 정책 프레임워크를 실현하겠다는 의지가 시장과 정책 현장에서 어떤 변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미국·EU·중국 등 주요국도 자국 중심 AI 규범 강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EU는 이미 AI법안(EU AI Act)을 도입해 윤리·안전 기준을 촘촘히 설정했고, 미국 역시 자율규제와 정부지침을 병행한 정책 모색이 한창이다. 이에 비해 OECD 중심의 다자 거버넌스는 표준화·윤리 규범의 국제 공감대 형성을 과제로 안고 있다.

 

이번 통합 의장 선출로 한국 입지는 한층 확장됐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AI 거버넌스 분야에서 쌓아온 신뢰와 역량을 국제사회가 공식 인정한 결과”라며 “향후 글로벌 AI 규범 설정과 의제 주도를 통해 ‘AI 리더 국가’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산업계는 AI 기술과 정책, 윤리·규범 수립 간 균형이 산업 생태계 발전의 새 조건이 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정책 협력과 기술 경쟁의 교차점에서 한국의 거버넌스 리더십이 실제 영향력을 어떻게 행사할지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박지수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하연#oecd#gp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