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D-3”…한국, 대미 투자 확대·조선 등 전방위 총력전
한미 간 상호관세 유예 시한(8월 1일)이 사흘 앞으로 다가오며, 한국 정부가 수출 경쟁력 사수를 위해 후방 라인까지 총동원한 막판 협상에 나섰다. 29일(현지시간) 미국 측이 “최종 협상안을 내달라”며 압박을 강화하고 있어 한미 통상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다.
미국은 일본·EU와의 협상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이 추가 양보에 나설 것을 시사했고, 한국이 제시한 기존 협상안에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구윤철 경제부총리를 긴급 파견하고,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등 현지에 체류중인 통상 라인과 협상 전략을 조율 중이다. 조현 외교부 장관 역시 30일 미국에 합류해 외교 채널을 통한 대응에도 적극적이다.

한국의 목표는 미국이 예고한 25% 상호관세를 최소 일본·EU 수준인 15%로 낮추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이 일본·EU로부터 자국 시장 개방과 천문학적 투자를 받아낸 점은 한국 측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업계는 관세 인상 시 국내 수출기업 부담이 급격히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국 정부는 '1천억 달러+α' 대미 투자안을 내놓았으나, 미국 측은 4천억 달러 대규모 투자를 요구했다는 보도도 전해졌다. 이에 정책금융기관 동원, 대기업 추가 투자 등 다양한 협상 카드를 검토 중이다.
정부 외에도 재계에서도 총력 대응에 동참 중이다. 김정관 장관은 양국 조선산업 협력 방안인 ‘마스가(MASGA)’ 프로젝트를 제안했으며, 한화그룹 김동관 부회장도 워싱턴DC에서 조선·투자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역시 미국 반도체 투자·AI 협력을 목표로 워싱턴행 비행기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한미 상호관세 협상이 무산될 경우 수출 산업 전반에 부정적 파급 효과가 불가피하다”며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 및 생산시설 확대, 전략산업 협력을 통한 실질적 교환안 마련이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추가 협상카드 준비와 함께 외교·산업 컨트롤 타워 역할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과거 일본·EU 협상 결과와 비교해 한국의 관세 인하 성과에 시선이 집중되는 가운데, 향후 한미 경제협력 향방을 가를 중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미국 측 입장 발표가 임박한 만큼, 한국이 관세·투자 등 분야에서 얼마나 실질적인 이득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정부는 “수출 경쟁력과 경제 안정을 동시에 지키겠다”며 총력 대응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