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미 투자기업 비자 애로 개선 매우 중요" 정기홍, 미 국무부와 조지아 사태 후속 논의
조지아주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를 둘러싼 후속 조치와 대미 투자기업 비자 문제가 다시 외교 현안으로 부상했다. 외교부와 미 국무부가 워싱턴 D.C.에서 마주 앉으며 한미 공공외교와 경제 협력의 접점을 재정비하는 셈이다.
외교부는 19일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 대사가 18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2025 한미 공공외교 포럼 참석을 계기로 미 국무부 고위 인사들과 연쇄 면담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면담은 조지아주 대규모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 이후 양국 간 후속 조치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공공외교 협력과 비자 제도 개선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정기홍 대사는 포럼 전후로 사라 로저스 미 국무부 공공외교 차관과 마이클 디솜브레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를 각각 만났다. 정 대사와 로저스 차관은 한미일 협력 기반의 대외 확장 공공외교 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내년 미국 독립 250주년을 계기로 한 공동 기념 사업과 미래 세대 간 교류 확대 방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하며, 양국 공공외교 협력의 전략적 의미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 대사는 디솜브레 차관보와의 면담에서 한미 경제 협력의 지속을 위해 대미 투자 한국 기업 인력의 미국 입국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해소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미 투자 기업 인력의 미국 입국 관련 애로사항 해소 및 비자 문제 개선이 양국 간 협력 모멘텀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히며, 제도 개선을 통한 예측 가능성 확보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양측은 한미 비자 워킹그룹을 통한 협력을 이어가기로 하고,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노동자 다수가 구금됐던 사건의 후속 조치를 충실히 이행하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했다. 아울러 한국 기업과 근로자의 안정적인 현지 활동을 보장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을 협의하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보완 필요성도 논의했다.
한편 정기홍 대사는 미 허드슨 연구소와 통일연구원이 공동 주최하고 한국 외교부가 후원한 2025 한미 공공외교 포럼에서 전문가들과 한미동맹의 미래 청사진을 놓고 심도 있는 토론을 진행했다. 포럼에서는 한미 경제협력, 양국 관계에 대한 대중 인식, 향후 동맹 발전 방향 등이 주요 의제로 다뤄졌다.
참석자들은 한미 공동 설명자료, 이른바 팩트시트가 한미동맹의 지향점을 전통적 안보 협력을 넘어 경제 번영과 첨단기술 협력으로 확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 팩트시트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동맹 운영 체제를 혁신할 필요가 있다며, 기존 군사동맹 틀을 보완하는 다층적 협력 구조의 중요성에 의견을 모았다.
외교부는 한미 비자 워킹그룹과 공공외교 채널을 꾸준히 가동해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한국 기업과 교민 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비자 제도 개선과 신뢰 회복 조치를 미국 측과 협의해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히며, 앞으로도 한미동맹의 외연을 경제와 인적 교류 분야까지 넓혀 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