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청문보고서 채택 전면 보류”…여야, 장관 인사 놓고 정면 충돌
정치

“청문보고서 채택 전면 보류”…여야, 장관 인사 놓고 정면 충돌

신민재 기자
입력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두고 여야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청문 보고서 채택 여부를 두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간 갈등이 격화되는 양상이다. 인사검증 과정에서 논란이 커지자 국민의힘은 ‘임명 불가’ 대상을 추가하며 사퇴 압박을 높였고, 민주당은 청문보고서 채택을 둘러싼 정치적 거래 시도에 강력 반발했다.

 

17일 국회에서는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등 3개 부처 장관 후보자 청문회가 진행됐다. 이날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갑질 의혹’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이 여론 악화로 이어진 점을 들어, 임명 불가 대상자를 기존 5명에서 6명으로 확대했다. 이에 따라 6인에 대한 집단 낙마 공세 수위를 높였다.

국민의힘 김기현 의원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청문회에서 “트럼프 정부가 이재명 정부를 바라보는 시각이 별로 호의적이지 않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1차 탄핵소추안에 북중러 적대시 조항이 명시됐고, 이재명 대통령도 이에 서명했다. 어떻게 미국이 우리를 호의적으로 보겠나”라고 지적했다. 또 “윤 전 대통령은 취임 후 열하루 만에 한미 정상회담을 했다. 그런데 현 정부는 아직 회담 여부가 불투명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민주당 김영배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은 당선 2주도 되지 않아 주요 7개국(G7) 회의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려 했으나 피치 못할 사정으로 성사되지 않은 것”이라며 빠른 정상회담 추진 의지를 강조했다. 홍기원 의원도 “윤석열 정권 3년 동안 외교가 국민 걱정거리로 전락했다”며 “계엄과 내란, 체포 과정의 충돌로 국격이 많이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인사청문회에서는 김정관 후보자의 두산에너빌리티 경영 경력이 도마 위에 올랐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2022년 퇴직 후 2억원 상당 상여금을 수령했고, 두산그룹이 최근 10년간 산업부 산하 공공기관 계약 9조원을 수주했다고 지적하며 이해충돌 가능성을 제기했다. 반면 민주당은 김 후보자가 “공직과 민간을 두루 경험한 인사”라며 적극 방어에 나섰다.

 

기획재정부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는 구윤철 후보자 배우자의 농지투기 의혹을 둘러싼 공방이 오갔다.

 

양당 대립은 청문보고서 채택 문제로 이어졌다. 국민의힘은 ‘무자격 6인’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을 사실상 연계하며 전원 보류를 주장, 모든 청문회가 끝난 뒤 민주당과 종합 협의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보고서 채택은 국정 발목잡기로 삼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하게 맞섰다. 또 “이진숙 후보자 논문 표절 의혹은 대체로 소명됐다”며, 교육부 장관 임무 수행에 자질 문제가 없다고 평가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인사청문회 슈퍼위크가 끝난 후에도 청문보고서 채택을 둘러싼 여야 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국민의힘이 임명 반대 후보를 추가해 집단행동으로 맞설 경우, 이재명 정부의 초대 내각 구성이 장기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이날 국회는 장관 후보자 적격성, 청문보고서 채택 방식 등을 두고 끝까지 팽팽히 맞섰으며, 여야의 청문 절차 논쟁은 다음 주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신민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국민의힘#이재명정부#강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