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 상생 협상안 필요”…구윤철, 워싱턴서 베선트와 통상 담판
정치

“한미 상생 협상안 필요”…구윤철, 워싱턴서 베선트와 통상 담판

김소연 기자
입력

한미 통상 현안을 둘러싸고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미국 워싱턴DC에서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최종 담판을 앞두고 현지로 출국했다. 25퍼센트 상호관세 부과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상황 속에, 양국이 국익을 내건 최종 협상전을 예고하며 정국의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는 29일 인천공항 출국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익을 중심으로 한미 간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협상안이 마련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이 준비하고 있는 프로그램, 그리고 한국의 상황을 잘 설명하고 조선업과 한미 간 중장기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분야도 잘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구 부총리는 31일(현지시간)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 워싱턴DC에서 만나 막바지 통상 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구 부총리는 "베선트 장관은 지금 트럼프 정부에서 통상협상을 총괄하고 있는 중요한 직책"이라며, "현지에서 협상 중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과도 긴밀히 공조해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회담은 양국이 지난 수개월간 이견을 좁혀온 통상 논의의 최종 조율 과정으로 평가된다. 특히 베선트 장관은 최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의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을 마무리한 직후 워싱턴으로 복귀, 곧바로 구윤철 부총리와 마주할 전망이다. 이로써 양국의 25퍼센트 상호관세 부과(8월 1일)를 하루 앞둔 터라, 회담 결과가 조선업 등 핵심 산업 분야에 미칠 영향에 이목이 쏠린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구 부총리의 이번 워싱턴 방문이 관세발 경제 충격을 최소화하고, 동맹국 간 협력의 새로운 계기를 만들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한미 통상마찰의 여파가 대외경제와 국가 산업 전략 전반에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협상 결과에 따라 조선업 등 양국 주요 산업에 대한 관세 정책이 달라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정부도 실무 협상 라인과 대미 외교채널을 총동원해 대응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워싱턴 담판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가 협상 및 후속조치 방안을 신속하게 마련할 계획이다.

김소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구윤철#베선트#한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