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 소환 불응 이어져”…윤석열 전 대통령, 강제조사 초읽기
출석 요구를 거부한 윤석열 전 대통령과 특별검사팀의 수사 동력이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김건희 여사 특검을 둘러싼 조사 보이콧이 반복되면서 특검 수사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검팀은 29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첫 소환 요구에 응하지 않자, 즉각적으로 다음날 오전 10시 재출석을 요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다.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은 서울 광화문 특검팀 사무실 출석 요구를 거부했다. 특검팀은 이에 서울구치소에 수사 협조요청서를 전달했으며, 불응이 이어질 경우 강제구인 등 실질 조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변호인 선임계조차 제출하지 않으며, 조사 자체에 대한 거부 의사를 드러냈다.

특검의 이번 소환은 2022년 지방선거 및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당시 공천 개입 의혹과 김건희 여사 관련 주요 혐의 진상 규명이 핵심이다. 명태균 공천 개입,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등 무게가 실리는 혐의점들을 두고, 특검팀은 진술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 특검 조사에 출석한 윤상현 의원이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인정하는 등, 기존과 다른 진술들이 수사의 방향타를 바꿀 변수로 떠올랐다.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은 건강 문제와 절차상 문제를 주된 사유로 들며, 반복해서 출석을 거부하고 있다. 내란특검 관련 조사와 재판에도 불출석으로 일관해 온 점은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서 비판적 시각을 키우고 있다. 한편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와 명태균 씨 등 핵심 인물의 출석이 잇따라 무산됨에 따라, 필요시 법원의 구인장 청구 등 강제조사 실행을 공식화했다.
오는 8월 6일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가 예정된 가운데, 특검팀의 강제조치 수위와 수사 동력 유지 여부에 정치권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특검은 “필요시 법원의 구인장을 청구해 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치권은 특검 수사의 중대 분수령을 앞두고 거센 공방을 벌였으며, 김건희 여사 관련 사법 리스크가 정국 격랑으로 치달을 조짐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