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 인재 쟁탈 경쟁 격화”…메타, 플레이AI 인수로 시장 지각변동 예고
국제

“AI 인재 쟁탈 경쟁 격화”…메타, 플레이AI 인수로 시장 지각변동 예고

김서준 기자
입력

현지시각 12일, 미국(USA)에서 메타(Meta)가 AI 인재 확보 전략의 일환으로 음성 AI 스타트업 ‘플레이AI(PlayAI)’ 인수를 공식 발표했다. 이번 거래로 플레이AI 소속 전 직원 약 20명이 다음 주 메타에 합류하며,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에서 빅테크 기업들의 인재 확보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번 인수는 AI 기술 주도권을 둘러싼 격화된 경쟁 구도 속에서 이뤄져, 업계는 파장을 주목하고 있다.

 

메타는 내부 문서를 통해 “플레이AI의 자연스러운 음성 생성 기술과 플랫폼이 AI 캐릭터, 메타 AI, 웨어러블, 오디오 콘텐츠 사업 등에서 높은 시너지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플레이AI는 실제 사람처럼 대화하는 자연 대화형 음성 AI 개발에 주력해 온 스타트업이다. 최근 메타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 AI 시스템 연구소 신설과 함께 대규모 인재 영입을 단행하며, AI 분야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메타’ AI 인재 확보 가속…‘플레이AI’ 등 AI 스타트업 인수 박차
‘메타’ AI 인재 확보 가속…‘플레이AI’ 등 AI 스타트업 인수 박차

메타는 최근 데이터 공급 스타트업 ‘스케일AI’에 143억 달러를 투자하고, 창업자 알렉산더 왕 CEO를 포함한 주요 인력을 영입했다. 아울러 오픈AI(OpenAI) 출신의 대니얼 그로스, ‘세이프 슈퍼인텔리전스(SSI)’ CEO 등 경쟁사 핵심 인재를 적극 스카우트하며, 인력 확보에 수십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를 제시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 따르면, 오픈AI 연구진에는 최대 1억 달러, 애플(Apple) AI 모델 개발 책임자 채용엔 2억 달러에 달하는 조건도 내세웠다.

 

글로벌 AI 주도권을 잡으려는 움직임은 메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오픈AI 역시 AI 코딩 스타트업 ‘윈드서프(Windsurf)’ 인수에 30억 달러를 제안했으나, 최종적으로 계약이 무산됐고 이후 구글(Google)이 윈드서프 CEO와 주요 엔지니어 영입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월스트리트저널은 구글이 윈드서프 기술 일부 사용권을 24억 달러에 구매키로 했다고 전했다.

 

빅테크 중심의 AI 스타트업 인수와 인재 영입이 가속화되면서, 향후 시장 내 추가 투자와 고액 연봉 경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파이낸셜타임스와 CNN 등 주요 외신도 “AI 인재 쟁탈전이 다시 한번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 분야 주도권을 쥐기 위한 인재 확보와 기술 투자 바람이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와 국제사회는 향후 더 치열해질 AI 인재 경쟁과 그에 따른 시장 지형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메타#플레이ai#오픈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