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2학기 복학 허용”…총장협의회, 국시 추가 시행 건의 추진
의과대학 교육 체계가 유례없는 학사 혼란을 겪는 가운데, 전국 40개 의대 총장들이 수업 거부 사태를 잠정적으로 봉합하고 학기 내 복학이라는 유연한 해법을 추진하고 있다. 총장들은 의대생들이 집단적으로 수업을 거부하며 누적된 유급 문제에 대해, 현행 1년 단위 진급제도 대신 2학기 복학을 허용하기로 논의 결론을 내렸다. 이는 1학기 수업에 불참해 이미 유급 대상이 된 8305명의 행정 처분은 유예하되, 학교 교육의 정상화를 급선무로 삼겠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본과 4학년 등 졸업 임박 학생들은 최소 52주의 임상 실습을 채워야 해, 물리적으로 올해 내 졸업이 어려워진 점에 따라 총장들은 정부에 의사국가고시 추가 시행을 적극 건의할 계획이다.
의대 학사제도는 통상 연속 진급 및 연중 평가 체계를 적용하지만, 의대생 집단행동 장기화로 학기별 복학이라는 유례없는 전환이 추진되는 셈이다. 이번 조치는 기존 정책의 엄정성과 학생들의 복귀 필요성을 동시에 반영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또한 교육 정상화의 명분을 살리면서, 정부와의 협의와 학생 의견 수렴 등 사회적 절차를 예고했다.

의사 국가고시 추가 시행은 법ㆍ제도적으로 정부 승인이 필요한 사안으로, 전례를 찾기 힘든 사례다. 현재 본과 4학년 학생들이 정상 일정대로 국시를 볼 수 없게 된 점을 감안하면, 긴급한 추가 조치가 논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실제로 미국 국가시험, 일본 의사시험과 달리 한국 의사국가고시는 매년 1회 실시가 관례였으나, 최근 의료대란 여파로 변칙 시행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의료계 현장, 대학 당국, 정부 부처 간 이견이 좁혀지지 않는 가운데, 의대 총장단의 이번 조정안이 실효성 있는 대안이 될지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의료 인력 공백이 장기화되면 환자 진료와 의료기관 운영 차원서도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서 “총장협의회 방안이 교육과 의료제도 전반의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 해석했다.
산업계는 이번 결정의 시행 시점과 정부의 후속 조치, 그리고 의사국가고시 추가 시행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제도, 현장 운영 간 균형이 의료생태계 재정립의 관건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