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경남 14인 애국지사 추가 발굴”…경상남도, 만세운동 참여자 독립운동 서훈 신청
정치

“경남 14인 애국지사 추가 발굴”…경상남도, 만세운동 참여자 독립운동 서훈 신청

전서연 기자
입력

경남지역 독립운동가들의 서훈 신청을 둘러싼 행정기관과 국가보훈부의 움직임이 재조명되고 있다. 경상남도가 14명의 잊힌 애국지사 명단을 추가로 발굴해 국가보훈부에 독립운동 서훈을 신청했다고 31일 밝혔다. 이 같은 신청은 지역사회에서 독립운동가들의 역사적 역할을 복원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결과다.

 

도에 따르면 이번에 신규로 발굴된 인물들은 1919년 3·1운동 당시 창원 웅천·웅동, 함안읍, 사천 삼천포, 합천 삼가 및 초계, 산청 읍 등 경남 6개 지역에서 만세운동을 주도하거나 적극 참여했던 이들이다. 김상윤, 김종호, 황병덕, 이종인 선생은 같은 해 4월 3일 웅천·웅동 연합 만세운동에서 체포돼 징역 6개월에서 1년의 실형을 살았으며, 조동만, 김문기, 조만두, 박경철 선생 역시 3월 19일 함안읍 만세운동에 참여해 소요죄로 유죄 선고를 받았다. 여기에 고광세, 강상조(사천), 허정모, 김석순(합천 삼가), 김덕영(합천 초계), 산청 만세운동에 참여한 1명 등 각 지역에서 기록이 누락됐던 지사들이 명단에 포함됐다.

경상남도는 2023년부터 도내 18개 시군과 연계해 독립유공자 발굴 사업을 펼치며, 증빙자료 부족으로 서훈이 누락된 인물들을 되짚고 있다. 2023년 12월 24명에 대해 신청한 데 이어, 이번 14명을 포함하면 도 차원에서 서훈 신청 인원은 총 116명에 달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지자체의 적극적인 발굴 조치와 보훈부의 신속한 심사가 독립유공자 예우의 기본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역에 남은 방대한 미공개 자료와 후손 증언 수집 등이 병행돼야 한다”며 소외된 독립운동가 재조명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번 서훈 신청에 대해 경상남도 관계자는 "지원 사각지대에 놓였던 분들의 명예 회복과 후손에 대한 실질적 보훈을 위해 매년 서훈 신청을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보훈부는 해당 서훈 신청 명단의 진위와 공적사항을 검토한 뒤, 심의 절차를 거쳐 최종 수훈 대상을 확정할 방침이다. 경상남도는 향후에도 추가 발굴 작업을 지속하겠다고 밝힌 만큼, 연말까지 이어질 신규 서훈자 선정 결과가 귀추를 모으고 있다.

전서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경상남도#창원만세운동#국가보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