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북한이탈주민 ‘탈’자 어감 논란”…정동영, ‘북향민’ 명칭 변경 연구 착수
정치

“북한이탈주민 ‘탈’자 어감 논란”…정동영, ‘북향민’ 명칭 변경 연구 착수

윤선우 기자
입력

‘탈북민’ 호칭을 둘러싼 오랜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최근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식에서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일상적으로 통용되는 ‘탈북민’을 대체할 새 명칭 검토에 착수했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정동영 장관은 행사 축사에서 “북한이탈주민이 제일 싫어하는 단어가 ‘탈’자”라며 “탈북, 어감도 안 좋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일부가 지금 이름을 좀 바꾸자 해서 용역을 줬다”며, “‘이북에 고향을 두고 오신 분들’이라는 의미에서 ‘북향민’이 지원이 많은 것 같다”고 설명했다. 그는 직접 청중을 향해 “‘탈’자를 떼버리고 북향민, 괜찮겠습니까?”라고 질문하기도 했다.

통일부는 지난달 북한이탈주민학회와 관련 연구용역 계약을 체결, 용어 변경의 필요성과 대체안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통일부 관계자는 “법적 용어인 북한이탈주민과 축약어인 탈북민 용어를 변경할지에 대해 검토하는 연구에 착수했다”며 “연구 결과는 11월에 나올 예정”이라고 전했다.

 

탈북민 사회 내에서 기존 호칭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통일연구원이 지난해 실시한 북한이탈주민 대상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58.9%가 법적 용어 변경에 찬성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나민’, ‘통일민’, ‘북향민’ 등 다양한 대체 용어가 언급됐으나 선호도는 팽팽하게 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가 ‘북배경주민’과 ‘탈북국민’ 등 여러 대안을 제시한 바 있다. 다만 법적 명칭인 북한이탈주민을 바꾸려면 ‘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아울러 ‘탈북민’ 표현이 이미 사회 전반에 자리 잡은 만큼, 호칭 변경이 실제로 정착될지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존재한다. 과거 ‘새터민’ 등 새로운 명칭이 도입됐으나, 일상어로 널리 확산되지 못했던 사실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통일부 관계자는 “명칭 변경이 인식 개선과 사회통합에 효과가 있는지, 또 법정 용어와 별개로 일상 호칭만 바꾸는 방법도 함께 논의할 것”이라며 “어떤 명칭이 적절한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국회와 정치권은 명칭 변경 움직임에 다양한 반응을 내놓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정체성과 사회 적응을 돕는 현실적 조치라 평가한 반면, 법적 혼란과 실효성 논란이 제기됐다. 정부는 11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명칭 변경의 사회적 파급력과 법적 절차를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동영#통일부#북향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