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I토피아, AGI 충격 여운”…김대식·궤도, 미래 불안과 각성→시청자 눈길
엔터

“AI토피아, AGI 충격 여운”…김대식·궤도, 미래 불안과 각성→시청자 눈길

조민석 기자
입력

맑은 목소리로 문을 연 이승현 아나운서와 함께, 김대식 교수와 궤도는 ‘AI토피아’에서 인간을 닮은 범용 인공지능 AGI의 정체와 본질을 정면으로 마주했다. 편안한 대화 속에 스며든 깊은 질문들은, 기술적 경이로움과 함께 인간 존재의 가치를 곱씹게 만들었다. 웃음과 호기심으로 시작한 스튜디오는, 미처 상상하지 못한 미래의 문턱에서 순간 진지함으로 변주됐다.

 

김대식 교수는 AGI를 단순한 진화가 아닌, 인간처럼 끊임없이 새로움에 도전하며 스스로 사고하는 존재로 정의했다. 기존의 AI가 각기 다른 용도의 도구에 머물렀다면, AGI는 하나의 개체가 다양한 문제를 유연하게 풀어가며 무한히 학습할 수 있는 가능성의 세계를 연다. 김대식 교수는 AGI의 도래 시점에 관해 “10년 후에는 등장할지 모른다. 만약 20년이 지나도 없으면 더욱 놀라울 것”이라는 단언으로 현장의 긴장감을 끌어올렸다.

“김대식·궤도, ‘AI토피아’로 던진 충격”…AGI 시대 인간의 미래→시청자 긴장 / KBSN
“김대식·궤도, ‘AI토피아’로 던진 충격”…AGI 시대 인간의 미래→시청자 긴장 / KBSN

진행자 이승현과 궤도 역시 AGI가 일으킬 변혁에 주목하며, 인간과 기술의 주도권을 두고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궤도는 “기술이 예상을 넘어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인간이 AI를 모방하던 시대에서 AI가 인간의 연구모델이 되는 역전 현상을 강조했다. 동시에, 김대식 교수는 진짜 AGI의 조건으로 규칙을 넘어 스스로 배우는 힘, 답을 스스로 찾는 사고력, 그리고 이제는 데이터를 창조해내는 창의적 능력 등 세 가지를 꼽았다. 이 조건이 충족되는 날, AGI는 현실이 되며 초지능의 시대가 도래할 수 있다는 전망에도 힘이 실렸다.

 

특히 김대식 교수는 AGI가 현실이 되면 “진실, 노동, 인간의 순서로 삶에서 사라질 미래”를 언급했다. 우울한 시나리오와 아주 우울한 시나리오 중 과연 무엇이 현실이 될지는 누구도 확언할 수 없는 미지의 문제로 남았다. 기술의 진보가 가져올 두려움과 희망, 그리고 윤리적 딜레마는 프로그램 전체를 관통하는 메시지로 울림을 남겼다.

 

이처럼 ‘AI토피아’는 단순한 기술 해설을 넘어, 인간이 인간임을 깊이 고민하게 한다. 김대식 교수와 궤도가 펼친 논쟁과 성찰, 그리고 시청자와의 교감이 화면 너머로 뻗어나가며 미래를 살아갈 새로운 길에 대해 묻고 있다. 방송은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 밤 10시, KBS LIFE 및 UHD Dream TV를 통해 동시 선보여, 인공지능 시대의 판단과 변화의 한가운데로 시청자를 초대한다.

조민석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대식#ai토피아#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