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FLNG 액화장비 국산화 돌입”…한화파워시스템-삼성중공업, 자립 기술 강화
경제

“FLNG 액화장비 국산화 돌입”…한화파워시스템-삼성중공업, 자립 기술 강화

김태훈 기자
입력

국내 대형 조선·에너지 기업이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 설비) 분야의 핵심 장비 국산화에 본격 착수하며 에너지 산업 기술 자립에 속도가 붙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협력이 핵심 장비의 외산 의존도를 줄이고, 국내 조선·플랜트 산업 전반의 원가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정책적 지원과 민간 주도의 기술 내재화가 맞물리며 국내 FLNG 시장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한다.

 

한화파워시스템은 23일 삼성중공업과 액화공정시스템 ‘센스’에 특화된 기어식 컴팬더를 공동 개발하기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이 2017년 선보인 ‘센스’는 FLNG 상업화 핵심인 천연가스 액화공정의 국산 설계·엔지니어링 역량을 바탕으로, 이번 협력은 한화파워시스템의 대형 컴팬더 제작 기술이 더해져 핵심 장비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비용 경쟁력까지 확보하는 데 초점을 뒀다.

기어식 컴팬더는 압축기와 팽창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며, 고압 가스의 급격한 팽창과 온도 하락을 통해 액화에 필요한 냉각 효과를 만든다. 내부 장치 통합으로 냉동 사이클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만큼, FLNG 액화공정의 경제성과 완성도를 좌우하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핵심 액화 장비의 국산화가 이뤄질 경우 FLNG 프로젝트의 전체 원가 구조가 대폭 개선되며, 수주 경쟁력까지 높일 수 있다”며 기대를 나타냈다. 특히 조선·에너지 인프라 설계·제작 역량의 확대가 해외 의존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임재현 에너지산업전략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기술 내재화는 향후 FLNG 시장 판도를 좌우할 강력한 무기”라며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전환 흐름 속에서 조선·플랜트 생태계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첨단 전략 분야의 핵심 부품 소재 국산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프로젝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행정·기술 지원 정책이 병행된다면 글로벌 FLNG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가속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국산화 협약에 따라 양사는 2026년 초까지 센스 전용 컴팬더의 기본 설계를 완료하고 시제품 성능 검증·기술 내재화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동안 FLNG 액화공정의 핵심 장비 대부분은 외산 기술의존도가 높았으나, 이번 프로젝트를 계기로 조선·플랜트·기자재 산업의 경쟁지형이 바뀔 수 있을지 주목된다.

 

향후 FLNG 표준장비의 국산 설계·제조 성공 여부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화파워시스템#삼성중공업#flng액화공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