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베트남 리조트 익사사고에 뒤늦은 대응”…유족, 안전관리 미비에 책임 추궁
사회

“베트남 리조트 익사사고에 뒤늦은 대응”…유족, 안전관리 미비에 책임 추궁

김서준 기자
입력

베트남 냐짱(나트랑)의 한 리조트 앞바다에서 한국인 관광객이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하며, 안전관리와 사후 대응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유족 측은 리조트 안전 요원의 미흡한 구조와 현지 의료 시스템의 부실로 구조의 골든타임을 놓쳤다고 비판하고 있다.

 

사건은 지난 27일, 국내 한 여행 커뮤니티에 피해자 유족 A씨가 직접 사고 경위를 밝히는 글을 올리면서 알려졌다. A씨에 따르면, 여동생의 남편이 현지 가족 여행 도중 급격히 거세진 파도에 휩쓸려 바다에서 약 20분간 튜브에 의지해 떠내려갔지만, 리조트 안전 요원들은 소극적 태도로 구조를 지연했다. 피해자가 가라앉은 뒤에도 상식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심폐소생술이 이뤄졌고, 사고 발생 후 약 한 시간 뒤에야 구급차가 도착했다고 A씨는 설명했다.

나트랑(출처=베트남 관광청 홈페이지)
나트랑(출처=베트남 관광청 홈페이지)

유족은 “현장에서 안전 요원들은 멍하니 보고만 있었다”며 “당국의 신속한 구조 시스템이 절실했다”고 주장했다. 또, 리조트 측이 사인을 심장병 등으로 돌리려 한다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지 경찰의 조사 역시 투명성에 대한 의심이 제기되면서 유족들은 “진상 규명 없이 귀국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해외 여행지의 안전 인력 부족과 사고 대처 미비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문제로 지적돼 왔다. 현지의 경찰 및 구조 인력이 현장에서 신속하게 초기 대응하지 못할 경우, 귀중한 초기 구조 기회를 잃는 경우가 잦다. 이번 사고에서도 안전 요원과 구급 인력의 늑장 출동이 또다시 논란이 됐다.

 

외교부는 사고 발생 직후부터 현지 공관을 통해 상황을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관계자는 “현지 공안에 신속하고 공정한 수사를 요청했으며, 지속적으로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관광지 안전관리 강화와 해외 재난 시 구조체계 신뢰성 확보에 대한 논의가 다시금 제기되고 있다. 유족과 시민사회는 진상 규명과 책임 소재 밝히기를 촉구하고 있다. 한편 경찰과 외교부는 사망 경위와 현장 대응 적정성에 대한 후속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다.

김서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유족#냐짱리조트#외교부